• 공주 석장리에서 찍개, 주먹도끼 등의 뗀석기 → 구석기시대
•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 하였다 → 청동기 시대
• 무리를 지어 이동 생활을 하였으며,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구석기 시대
• 거푸집을 이용하여 청동무기를 제작하였다 → 청동기 시대
• 빗살무니 토기를 제작하여 식량을 저장하였다 → 신석기 시대
•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만들었다 → 신석시 시대
• 빗살무늬 토기, 갈돌, 갈판, 정착생활과 농경의 시작 → 신석기 시대
• 농경과 목축을 시작, 사냥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확보 → 신석기 시대
•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저장하였고, 갈돌과 갈판을 사용하였다 → 신석기 시대
• 가락바퀴를 위용하여 실을 뽑았다 → 신석기 시대
• 명도전을 사용하여 중국과 교류하였다 → 철기 시대
•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동검을 제작하였다 → 철기 시대
•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 청동기 시대
• 고인돌, 사유 재산과 계급 발생 → 청동기 시대
• 생산력이 높아짐에 따라 사유 재산이 발생하고 계급이 나타났다 → 청동기 시대
• 청동기 시대의 지배 세력은 고인들을 조성하고, 청동 거울 등으로 자신들의 권위를 과시하였다
•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 되었다 → 고려 시대
•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 구석시 시대
•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식을 수확하였다 → 청동기 시대
• 실을 뽑기 위해 가락바퀴를 사용하였다 → 신석기 시대
•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 구석기 시대
• 비파형 동검, 민무늬 토기 → 청동기 시대
•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 구석시 시대
•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 청동기 시대
•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여 식량을 생산하였다 → 철기 시대
• 주먹도끼, 찍개 → 구석기 시대
• 연 출신으로 망명하여 준왕에게 항복, 이후 준왕을 공격 → 위만
• 한 무제가 파견한 군대와 싸웠다 → 고조선 우거왕
• 진번과 임둔을 복속하여 세력을 확장하였다 → 위만
•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고구려 고국천왕
• 지방의 여러 성에 욕살, 처려근지 등을 두었다 → 고구려
• 연의 장수 진재의 공격을 받아 영토를 빼앗겼다 → BC3세기 초, 위만의 이주 이전의 설명
• 해루부, 금와 → 부여
• 해루부는 부여의 국왕으로 금와왕의 아버지이다
• 부여는 만주 한복판의 쑹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며, 왕 아래에는 가축의 이름을 딴 가(加)와 사자 등의 관리
• 왕은 중앙의 작할령만 다스렸고, 여러 가들이 사출도라 불린 지역을 각각 다스렸다
•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 → 고구려
• 12월에 영고라는 제천행사 → 부여
• 정사암에 모여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 → 백제
•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 → 변한, 금관가야
• 특산물로 단궁, 과하마, 반어피 → 동예
• 여자가 어린 나이에 혼인을 약속한 남자 집에 가서 살다가 성장한 후에 남자가 돈을 지불하고 혼인 → 옥저
• 무두머리 명칭이 신지.읍차, 철이 생산되어 예.왜 등교 교역, 철을 화폐처럼 사용 → 삼한(변한)
• 신성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
• 옥저와 동예는 읍군, 삼로 라는 군장이 읍락을 다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