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사상

 

1. 초기불교사상

(1) 사성제(四聖諦)

사제라고 하는 것은 네 가지 진리라는 뜻으로, 여기에 성(聖)이라는 말을 더하여 네 가지의 거룩한 진리 즉 사성제라 한다. 간단히 말하면 괴로움, 괴로움의 원인,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 이것들을 정형화하여 고성제(苦聖諦), 집성제(集聖諦), 멸성제(滅聖諦), 도성제(道聖諦)라고 한다.

① 고성제 : 괴로움
인간 존재의 실상이 고통(苦)으로 가득 차 있다는 현실 판단의 진리이다.

② 집성제 : 괴로움의 원인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은 욕망과 집착의 번뇌에서 비롯된다.

③ 멸성제 :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을 완전히 제거하려면 괴로움의 원인이 되는 사랑의 목마름을 제거해야 한다. ‘갈애의 소진’ – 열반(涅槃)이 멸성제의 내용이다.

④ 도성제 :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괴로움을 멸하는 여덟 가지 길로, 팔정도(八正道)라고 하는데 열반의 세계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이다.

 

(2) 팔정도(八正道)

① 정견(正見) – 올바른 견해

② 정사유(正思惟) – 올바른 생각(끊임없이 생각하다)

③ 정어(正語) – 올바른 말(쓸떼없이 말하지 마라; 칭찬을 해라)

④ 정업(正業) – 올바른 행위

⑤ 정명(正命) – 올바른 생활

⑥ 정정진(正精進) – 올바른 노력(정신적인 노력)

⑦ 정념(正念) – 올바른 마음가짐(집중, 생활 속에서 내 주변의 모든 것)

⑧ 정(正定) – 올바른 집중(무아의 경지의, 순수한 깨달음, 모든 감정이 사라짐)

 

(3) 십이연기를 대표로 하는 연기(緣起)사상

연기(緣起)란 무엇을 연하여 일어나는 것이라는 의미로 일체의 사물은 다양한 원인과 조건에 의해 성립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일체의 존재가 연기하고 있다고 관찰하는 것이 연기관이다.

초기 경전에서는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난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소멸하면 저것이 소멸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엇에 연하여 생성한다는 것은 사물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상주불변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상호간에 서로 의존하여 성립하는 것이며, 서로가 원인이 되고 결과가 되는 연관성으로 성립되어 있는 것이다.

• 십이연기

① 노사(老死) : 인간의 육체가 노쇠하여 마침내 사멸하는 것이다.

② 생(生) : 각각의 중생이 탄생하는 것, 출생하는 것, 출산·탄생·여러 가지 구성 요소가 출현하는 것, 모든 기관이 완비되는 것을 말한다.

③ 유(有) : 생존을 말하며 미혹한 생존, 윤회하고 있는 생존을 말한다.

④ 취(取) : 집착의 의미로 인간의 미혹한 생존은 집착에 근거한다. 경전에서는 욕취(慾取: 욕망에 의해 생녀난 집착), 견취(見取: 철학적 견해를 주장하는 집착), 계금취(戒禁取: 계나 신조를 주장하는 집착), 아어취(我語取: 자아가 존재한다고 논의하는 집착) 등으로 나눈다.

⑤ 애(愛) : 갈애(渴愛)라고 번역되며 능동적으로 만족을 구하는 인간의 본능적·맹목적·충동적 욕망을 말한다.

⑥ 수(受) : 대상의 인상을 받아들여 생겨난 고(苦), 락(樂), 비고비락(非苦非樂)의 감수를 말한다.

⑦ 촉(觸) : 대상과의 접촉작용을 말한다.

⑧ 육처(六處) : 대상과 감각기관의 대응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영역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안(眼) · 이(耳) · 비(鼻) · 설(舌) · 신(身) · 의(意)라고 하는 여섯 가지이다.

⑨ 명색(名色) : 인식의 대상으로 객관적인 면을 나타낸다.

⑩ 식(識) : 인식판단의 작용 또는 인식 판단의 주관을 말한다.

⑪ 행(行) : 일반적으로 ‘잠재적 형성력’, ‘잠세력(潛勢力)’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만들어진 것으로 만들어내는 힘(업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⑫ 무명(無明) : 무지를 말하는데, 경전에 의하면 고 · 집 · 멸 · 도에 사성제에 의해 무지한 것이며, 보편적 진리인 연기 · 무상 · 무아 등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4) 삼법인(三法印)

연기의 세계를 깨닫는 방법으로 삼법인(三法印: 세 가지의 진리)이 있다. 삼법인은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개고(一切皆苦)의 세 가지이고, 여기에 열반적정(涅槃寂靜)을 더하여 사법인(四法印)이라 하기도 한다. 법인(法印)이란 법의 도장이나 징표의 의미이며 ‘진리가 되는 도장’이다.

삼법인은 무상과 무아인 현상계의 근본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 고통을 받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게 하고 열반으로 인도하는 가르침이다. 연기로 구성된 세계는 한 순간도 머무르지 않고 변화한다는 의미에서 무상이고, 상호의존에 있기 때문에 주체적으로 독립된 존재가 없다는 의미에서 무아인 것이다. 다라서 무상인 것은 고통이고 고통인 것은 무아라고 말해 연기의 상의성(相依性) 즉 ‘상호 의존해 생성된 세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제행무상 모든 인연에 의해 생성된 것은 영원하지 않음
제법무아 생명을 구성하는 것은 오온(五蘊)으로 이루어지고, 오온에는 아(我)란 존재하지 않음
일체개고 무상(無常)함과 무아(無我)를 깨닫지 못하고 영생에 집착하여 온갖 고통에 빠져 있음

 

 

 

2. 중관사상

(1) 공(空)의 의미

공(空)이란 대승불교의 근본개념으로 『반야경』을 시작으로 체계화되었다. 대승불교에서의 공은 자성(自性), 실체(實體), 본성(本性), 자아(自我) 등과 같이 궁극적으로 실제하다고 믿는 것이 실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역설하는 사상이다. 따라서 공사상은 본질과 자성이 존재하지 않음과 언어에 의해 잘못 부여된 개념분별을 타파할 것을 역설한다.

따라서 유식사상은 인간의 정신과 현상을 식의 활동으로 설명하고 순간순간 생멸하면서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식의 흐름과 변화의 과정이라고 한다. 그래서 유식사상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현상은 실체가 없고 오직 식만이 존재한다는 유식무경(唯識無境)의 식일원론(識一元論)이다.

 

 

3. 삼국의 불교수용

(1) 고구려

① 불교가 처음으로 한국에 들어온 공식적인 전래 시기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이며, 이보다 먼저 불교가 이미 고구려에 알려져 승려와 일반 사람들에게 전파되어 있었다.

② 고구려의 불교는 공(空)사상을 주로 하는 삼론학(용수(나가르주나)의 중론·십이문론, 그리고 제자인 제바의 백론 등 3론에 의거한 논종인데, 반야공의 사상을 교리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불교가 발달하였다.

③ 삼종론의 대표적 승려로는 고구려 요동 출신의 승랑(僧朗, 450~530)이 있는데, 중국 남조(南朝)에서 삼론을 개척하여 삼론종의 선구자로 추앙받고 있다.

④ 일본으로 건너가서 활약한 승려로는 혜자(惠慈: 쇼토쿠태자의 스승, 중앙집권에 도움), 담징(曇徵: 벽화) 등이 있다.

 

(2) 백제

① 침류왕 원년(384) 동진(東晉)으로부터 불교가 전래되었다.

② 백제의 불교는 3장(불교의 중요한 3가지는 경장, 율장, 논장을 말한다. 경장은 부처의 말씀과 행적으로 모은 부류의 전적이고, 율장은 부처가 제정하신 일상생활에 지켜야 할 규칙을 말하며, 논장은 경에 말한 의리를 밝혀 논술한 전적이다) 중에서도 율장 중심의 특색을 보였는데, 겸익(謙益) 뛰어난 역할을 담당하였다. 겸익은 인도로 건너가서 산스크리트어를 배우고, 백제로 돌아와 상당량의 불교 경전을 번역하였다.

 

(3) 신라

① 고구려를 통해 5세기경부터 변방을 중심으로 전래되다가 법흥왕 때엔 서기 527년에 이차돈(異次頓, 506~527)의 순교 사건 등을 거치면서 힘들게 공인되었다.

② 신라의 불교는 왕실과 결합하여 발전하였는데, 특히 진흥왕의 흥륜사 · 황룡사 사찰 건립, 전륜성왕(왕 자신이 불교의 진리를 굴린다는 뜻), 화랑도의 불교 정신 등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③ 신라불교의 대표적 인물로는 원광(圓光)과 자장(慈藏)이 있다. 원광은 당나라 유학 당시 유교를 공부하다가 출가하여 승려가 된 인물이다. 원광은 신라에 와서 유교와의 절충을 꾀하였으며, ‘세속5계’를 지어 사회윤리의 정립을 위해서도 힘썼다. 자장은 황욜사에 9층탑을 세우고, 통도사를 창건케 하여 불교의 융흥을 꾀하고, 사상적으로 율학을 중심으로 강론을 전개하였다.

 

 

4. 통일신라의 불교사상

(1) 불교문화의 황금시대

① 그 이전까지 불교에 대한 연구와 이해의 기초 위에서 높은 경지의 이론이 발달하게 되어 불교철학기 높은 차원으로 발전아게 된다.

② 통일신라시대에 많은 학승들이 출현하며, 문화적 유산으로는 불국사와 석굴암 등을 들 수 있다.

 

(2) 원효(元曉, 617~686)

① 왕실중심의 귀족 불교를 대중화 시키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② 원효 사상의 핵심은 일심(一心)과 화쟁(和諍)에 있다.

<일심(一心)>
· 모든 존재의 근거
· 현상세계의 질서와 모든 만물의 원리
· 모든 상대적인 차별을 떠나서 존재함
· 일심은 평등하고 무차별하다
· 일심의 근거에서 보면 모든 것은 근원적인 점에서 평등무차별하다
→ 불교의 모든 사상들에 특유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 모든 것을 회통하는 일심의 정화에 최고에 가치를 부여하면서 중생의 제도에 중점을 두고 일심사상을 실현해나갔다. 이런 맥락에서 일심은 원효 사상의 방법적 특색이라고 할 화쟁에 근거를 제시해 주고 있다.

<화쟁(和諍)>
원효의 화쟁은 다양한 불교 이론들 사이의 다툼을 화해시키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여러 불교이론들이 서로 다투어서 쟁론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진리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자기 이론에만 집착하기 때문이라고 하여 여러 이론들을 화해시키려고 노력하였다. 화쟁이 요청되는 이유는 자기 이론에만 집착하여 분파주의적으로 나가는 것은 부처의 진정한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일종의 대립을 해소하고, 하 마음에로 돌아가길 소망한다.

 

(3) 의상(義湘, 625~702)

① 한국 화엄종의 개창자로 중국에 유학하여 중국 화엄종의 2대조은 지엄(智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② 의상은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로 자신의 화엄 세계를 드러냈다. 이는 7언 30구 210자로 된 시로 네모꼴 도인(圖印) 형식으로 되어 있다.

③ 조그마한 키끌 속에도 우주 전체가 들어있다.

④ 하나(一)와 여럿(多), 개체와 전체의 조화를 이상으로 하는 화엄 사상의 이상이 들어있다.

⑤ 의상의 화엄사상은 철학적인 이해보다 실천에 중심을 두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⑥ 국가의 후원을 받아 부석사 등의 사찰을 세우고 화엄사상을 널리 전파하였다.

 

(4) 선종

① 선(禪)은 종래의 인도불교와는 다른 중국적 특색을 나타내는 불교의 한 종파이다.

② ‘문자에 구애받지 않으며, 전통적인 경전의 가르침과는 달리 따로 전해지고, 직접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서, 사람의 본선을 보아 성불한다’는 것이 선의 요체이다.

③ 중국에 유학하여 선을 배운 승려들이 귀국하면서 선종이 흥하게 되었다.

④ 주로 지방 호족들의 지원을 받으면서 기존의 교학적인 불교를 비판하고 새로운 불교를 널리 전파하였다.

⑤ 고려조에 이르러 구산선문(九山禪門)으로 정리되어 호칭된다.

 

 

5.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고려시대에 들어서도 불교는 왕권의 비호를 받아 계속 융성하였다. 다수의 고승들이 나오고 국가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수많은 사찰이 세워지며 대장경 판각도 이루어지는 둥 계속 번영을 누렸다. 또한 고려시대 불교는 선(禪)과 교(敎)가 대립적으로 병립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과 교의 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고려시대 불교계의 근 관심사였다.

 

(1) 의천(義天, 1055~1101)

①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은 고려조 11대 문종의 아들로서 11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된 인물이다.

② 교관겸수(敎觀兼修)와 선교합일(禪敎合一) : 의천의 사상은 교(敎)의 입장에서 선(禪)을 겸하는 것으로 원효의 화쟁의 논리에 근거하여 교와 선의 대립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교(敎)의 경(經) 공부도 하고 선(禪)의 관(觀) 공부도 하여 교관을 겸수해야 한다는 것이 의천사상의 골자이다.

③ 교관겸수의 입장에서 의천은 천태종을 확립, 개종하였다.

 

(2) 지눌(知訥, 1158~1210)

① 한국 조계종의 아버지로, 시호는 ‘부처님의 은혜가 널리 비추인다’는 뜻의 보조국사(普照國師)이다.

② 모든 중생은 깨달음의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부처가 곧 이 마음(佛卽是心)라고 하여 깨달음이 따로 밖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중생의 마음이 그 자체 부처라고 보았다.

③ 정혜쌍수(定慧雙修) : 정(定)이란 마음의 동요를 그치고 편안한 경지를 나타내는 방법이며, 혜(慧)란 사물을 사물대로 보아서 번뇌를 없애고 진리를 개닫는 것을 말한다. 지눌이 ‘정혜쌍수’를 말할 때는 정(定)은 마음의 고요한 본체를 가리키며, 혜(慧)란 마음의 신령스러운 작용을 말하는 것이다. 정혜쌍수의 방법과 마찬가지 입장에서 지눌은 선과 교의 대립을 초월하여 한 마음으로 돌아가길 소망한다. 지눌에 따르면 선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의 말씀이다. 마음과 말이 결코 분리될 수 없듯이 부처의 마음과 말슴 도한 둘이 아니다. 그러므로 지눌은 궁극적으로 선과 교의 합일과 하나로 통함을 구하였던 것이다.
→ 정혜쌍수를 주장하여 선(禪)의 입장에서 교를 융화하여 선교일치의 철학 체계 구축.

④ 돈오점수(頓悟漸修) : 단번에 깨치고 천천히 닦음에 관한 이론으로 수행자는 방법적으로 먼저 깨치고 나중에 점진적으로 닦아가는 길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즉 나 자신과 부처가 동체임을 깨우침에 있어서 그것이 수행을 따라 점진적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대번에 이루어 진다는 의미에서 돈오(頓悟)이다. 그러나 본성이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깨달았다 하더라도 시작 없는 오랜 옛날부터의 습관과 버릇으로 더렵혀진 것을 한꺼번에 없앤다는 것은 힘든 일이므로 깨달은 뒤에 수행하여야 한다. 점차로 하여서 공(空)이 이루어지고 마침내 성(聖)이 되기 때문에 점수(漸修)라고 한다.

 

 

6. 조선시대 불교사상

(1) 불교의 탄압

① 유교(儒敎)를 숭상하고 불교(佛敎)를 배척하는 정책을 과감하게 단행한다.

② 불교의 종파를 축소하고 사원과 승려의 인원을 줄였다.

③ 사찰의 토지와 노비를 몰수하여 국가의 소유로 하고 군비와 관청에 배분하였다.

④ 왕사 및 국사의 제도를 폐지하고 승려의 신분증을 만들어 인원을 줄이는 ‘도첩제’를 실시한다.

⑤ 승려고시제도가 폐지되어 일반지배영역에서 사라지고 유교가 그 자리를 대치하게 된다.

⑥ 불교의 탄압으로 불교는 산중으로 들어가서 ‘산승불교시대’를 열게 된다.

 

(2) 휴정(休靜, 1520~1604)

① 조선조 중종·선조 때의 인물로 서산대사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②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승려군대를 조직하여 전쟁에 임하여 전투에서 공을 세운다.

③ 선(禪) 우위사상 : 휴정은 선이 우위에 있고 교가 열등한 위치에 있으며, 선은 깊고 교는 얕으며, 선은 주(主)이고 교는 종(從)이다. 교 밖으로 다로 전해지는 선의 취지는 교학자들이 감히 이해할 수 없는 높고 깊은 단계이므로 선은 높고 교는 낮다는 것이다. 이처럼 휴정은 선의 입장에서 교를 수용하는 입장을 보였다.

④ 유 · 불 · 도 삼교회통 : 불교에서는 마음(心)을 강조하고 유가에서는 성(性)을, 도가에서는 도(道)를 강조하지만, 삼교는 모두 본래심의 발현에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1) — 단군신화와 화랑도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2) — 토속신앙과 무속신앙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3) — 한국도교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4) — 한국불교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5) — 한국유교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6) — 한국실학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7) — 동학사상

민족사상과 문화유산 (8) — 척사위정사상과 개화사상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