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 잠수물리 및 해양학 |
1. 해안 가까이서의 쇄파 생성과 가장 관계가 밀접한 것은?
① 수심
② 바람
③ 밀도
④ 점성
2. 이안류(rip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해안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흐르는 해류를 말한다.
② 해안으로 들어왔던 물이 외해로 빠져나가는 것을 말한다.
③ 폭이 상당히 넓고 길이가 긴 것이 특징이다.
④ 수영 중 이안류를 만나면 거슬러서 벗어나야 한다.
3. 해수 40m 에서 잠수사가 호흡하는 공기 중의 산소 부분압은?
① 0.21 기압
② 0.84 기압
③ 1.05 기압
④ 3.15 기압
4. 기온이 20℃ 일 때 공기통 속의 압력 은 210kg/cm2 였다 수온이 15˚C 인 물 속에 잠수한다면: 공기통의 압력은?
① 157kg/㎠
② 195kg/㎠
③ 201kg/㎠
④ 206kg/㎠
5. 민물 31m 깊이에서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 이 작용하는 바닷물의 깊이는?
① 약 28m
② 약 30m
③ 약 32m
④ 약 34m
6. 파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해면이 가장 낮은 골짜기를 파정(派頂)이라 한다.
② 해면이 가장 높은 꼭대기를 파곡(皮谷)이라 한다.
③ 인접한 두 파정과 파정의 사이를 파고(波高)라 한다
④ 진폭은 파고의 1/2과 같다.
7. 바다 수심 33m 에서 다이버가 받는 절대압력을 대기압과 수압으로 옳게 표시한 것은?
① 0(대기압) + 4.3(수압)
② 1 (대기압) + 3.3(수압)
③ 0(대기압) + 3.3(수압)
④ 1 (대기압) + 4.3(수압)
8. 바다 속에서 방향을 알 수 있는 참고사항이 아닌 것은?
① 조류의 방향
② 수온 약층
③ 해의 방향
④ 바닥의 경사면
9. 조석 때문에 해면이 높아지고 있는 상태로서 간조에서 만조까지의 사이를 일컫는 말은?
① 고조시 (高潮時)
② 정조(亭朝)
③ 대조(大潮)
④ 창조(漲潮)
10. 열대성 저기압으로 강한 바람과 비를 동반하여 우리나라에 많은 피해를 주는 기단은?
① 적도기단
② 시베리아기단
③ 오호즈크해기단
④ 북태평양기단
11. 조석과 조류는 거의 동시에 시작되지만 서로 다른 운동을 보이는데 이 차이점은?
① . 조석은 수직운동, 조류는 수평운동
② 조석은 회절운동, 조류는 굴절운동
③ 조석은 수평운동, 조류는 수직운동
④ 조석은 굴절 운동, 조류는 회절운동
12. 샤를의 법칙을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공기통을 충전 할 때
② 재압챔 버를 작동할 때
③ 공기통 밀도의 변화
④ 호흡매체의 혼합분석
13. 파도를 일으키는 기파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바람에 의한 파동을 해일 이라 부른다.
②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한 파동을 풍파라 부른다
③ 태풍의 통과시 발생 한 장주기의 대규모적 인 파동을 쓰나미라 부른다 .
④ 달과 지구간의 만유인력과 공통질량 중심점에 대한 원심력의 차이 때문에 일어난 파동을 조석파라 부른다.
14. 수심 40m 에서 수중용접을 하던 잠수사가 상승 후 표면에서 수 시간이 지난 뒤 관절 통증을 호소하였다면 어떤 기체의 법칙과 연관성 이 있는가?
① BoyIe’s Law’
② DaIton’s Law
③ CharIe’s Law
④ Henry’s Law
15. 무게 500kg, 부피 200리터인 물체가 해저에 놓여있다. 이를 인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부력은?
① 150kg 이상
② 205 kg 이상
③ 295 kg 이상
④ 340 kg 이상
16. 다음 중 표층해류의 발생 주 요인은?
① 해수의 염분도
② 바람
③ 해수의 온도차
④ 남극의 빙하
17. 토출량이 10cfm 인 콤프레서로 80 입방피트짜리 공기통을 충전하려 한다. 이 때 공기통이 완전히 빈 상태에서 충전을 시작하면 약 몇 분 후에 완전히 충전되겠는가?
① 6분
② 8분
③ 10분
④ 12분
18. 빛의 굴절현상으로 수중에서 잠수사의 눈에는 물체의 실상이 다르게 보인다. 그 비율은?
① 약 10% 정도 작고 가깝게 보인다
② 약 15% 정도 작고 멀리 보인다
③ 약 25% 정도 크고 가깝게 보인다.
④ 약 40% 정도 크고 멀리 보인다.
19. 파의 속도가 4.8m/sec 이고 주기가 3초라면 파장은?
① 1.6m
② 4.8m
③ 10.5m
④ 14.4m
20. 빨강, 주황, 노랑, 파랑의 네 가지 색 깃발을 들고 수중에 들어갔을 때 가장 깊은 수심에서 구별 할 수 있는 색은?
① 주황
② 노랑
③ 파랑
④ 빨강
2과목 : 잠수의학 및 생리학 |
21. 혈액의 순환 경로로 옳은 것은?
①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 심장 – 페동맥 – 폐 – 폐정맥 – 심장
② 동맥 – 모세혈관 – 심장 – 정맥 – 폐동맥 – 페 – 페정맥 – 심장
③ 동맥 – 모세혈관 – 정맥 – 심장 – 폐동맥 – 폐 – 폐정맥 – 심장
④ 정맥 – 모세혈관 – 동맥 – 심장 – 폐동맥 – 페 – 페정맥 – 심장
22. 저산소증에 해당하는 것은?
① 20미터 수심에 5%의 산소공급
② 30미터 수심 에 5%의 산소공급
③ 40미터 수심 에 4%의 산소공급
④ 50미터 수심 에 4%의 혼합기체 공급
23. 공기잠수시 15m 보다 깊은 수심 에서 공기호스가 장애물에 걸려서 첫 정지점까지 상승하는데 감압표에 명시된 시간보다 3분 이 지연 되었다면 어떻게 조치해야 하는가?
① 지연된 3분을 해저체류시간에 더한다.
② 지연된 3분을 첫 감압정지시간에 더한다.
③ 감압표에 명시된 시간보다 5분을 더한다.
④ 감압표에 명시된 시간보다 10분을 더한다.
24. 혈액에서 약 5% 정도를 차지하며, 그 크기는 적혈구보다 작고, 혈액의 응고를 도와 지혈작용을 하는 것은?
① 혈장
② 임파선
③ 혈소판
④ 호르몬
25. 수심 60미터에서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의 분압은?
① 질소 4.0 / 산소 1.0 ATA
② 질소 4.8 / 산소 1.2 ATA
③ 질소 5.6 / 산소 1.4 ATA
④ 질소 6.4 / 산소 1.6 ATA
26. 심해잠수를 마치고 잠수선으로 복귀한 잠수사가 수면도착 후 2시간 정도 지나 양측 어깨에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면 이 때 바람직한 처치방법은? (단, 인근에는 온천장, 정형외과의원, 약국이 있으며, 고압챔버가 갖추어진 잠수병 전문치료시설은 차량으로 약 8시 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① 진통제를 투여한 후 온천욕을 실시한다.
② 정형외과에서 물리치료를 실시한다.
③ 수중재가압처료를 실시한다.
④ 잠수병 전문 병원으로 이송한다.
27. 의식 불명 잠수사의 응급조치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① 몸 전체를 수평으로 눕힌다.
② 가슴부위의 압박을 풀어 헤쳐준다.
③ 호흡이 원활하도록 한 후 옆으로 눕힌다.
④ 호흡이 원활하도록 기도개방을 위해 어깨에 베개를 받친다.
28. 차가운 물속에서 잠수를 하던 잠수사가 압력평형의 실패로 귓속에 발생한 통증으로 고통을 받던 중 어느 순긴 심한 현기증을 느끼게 되었으나 곧 해소되었다. 현기증이 발생한 이유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① 고막이 파열될 때의 지나친 통증 때문이다.
② 고막이 파열되어 중어에 물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③ 압력 평형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④ 부비동 압착증이 동반되었기 때문이다.
29. 부비동이 막혔을 때 계속 무리해서 잠수하면 부비동 내에 어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가?
① 콧물이 많이 나온다.
② 부비동 내에 출혈이 생길 수 있다.
③ 부비동의 공간이 외부 압력에 맞게 축소된다.
④ 부비동 내에 기포가 생겨 외부 압력과 맞춘다.
30. 수중에서 수면으로 상승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폐압력 손상(pulmonary barotrauma)으로 인한 합병증(complication)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폐부종 (pu I monary edema)
② 종격동기종 (mediastinal emphysema)
③ 동맥 기체색전증 (AGE)
④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31. 찬 수온에 노출되었을 때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들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과호흡 (Hyperventilation)
② 저혈압 (Hypotension)
③ 심 부정맥 (Cardiac Arrhythmia)
④ 몸떨림 (Shivering)
32. 과도한 초과호흡의 원인으로 수면 가까이에서 일어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은?
① 통증
② 출혈
③ 기절
④ 현기증
33. 표준공기감압표의 총감압시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하잠시간을 포함한다.
② 각 정지간 감압시간은 포함되지 않는다.
③ 해저도착부터 해면 도착까지의 시간이 다.
④ 각 정지간 수심의 상승시간도 포함된다.
34. 중추신경계 산소중독의 치료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재압 치료
② 고압산소치료
③ 산소 부분압 감소
④ 비활성 기체 농도 증가
35. 제2형(Type-‖)감압병 중 중추신경계 증상을 치료하는 산소 치료표는?
① 표5
② 표6
③ 표1A
④ 표2A
36. 표면 감압의 장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① 잠수사의 추위와 오한을 막아준다.
② 일정 압력의 유지가 용이하다.
③ 감압병이 발견되어도 즉시 치료할 수 있다.
④ 비용이 적게 든다.
37. 인체의 분당 호흡량을 구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
① 호흡부피 × 호흡빈도
② 페활량 × 호흡부피
③ 호흡빈도 + 페활량
④ 페활량 – 호흡부피
38. 90m 이상 깊은 수심에서 일반 압축 공기로 호흡할 때 증상은 질소 마취현상 외에 또 무엇이 나타날 수 있는 있는가?
① 저체온증
② 산소중독
③ 저 산소증
④ 공기색전증
39. 감암병(DCS 의 선행 요인(Predisposing factor )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 은?
① 비만 (obes¡ty)
② 탈수 (dehydrat¡on)
③ 음주 (aIcoho| ¡ntake)
④ 저 이산화탄소혈증 (hypocapnia)
40. 근육에 대한 설 명 중 틀린 것은?
① 열 생산 장소로서도 매우 중요하다.
② 창자의 연동 운동이나 심장의 박동은 근육과 관계가 없다.
③ 근육의 일은 밀거나 잡아 당기거나 하는 힘으로 표시된다.
④ 근육은 서로 반대 작용을 하는 짝들로 구성되어 있다.
3과목 : 잠수장비 |
41. 표면공급식 잠수에 사용되는 수심계 호스는 제작일로부터 5년 경과 후 얼마 만에 압력 검사를 하는가?
① 매 3개 월
② 매 6개 월
③ 매 9개 월
④ 매 1년
42. 유인잠수정과 무인잠수정을 비교했을 때 유인 잠수정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의 정밀성
② 작업의 효율성
③ 이용의 다양성
④ 작업시간
43. ADS(Atmospher¡c Div¡ng Su¡t)에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고도 잠수 시 감압 정지가 필요하다.
② 수상지원 의존도가 ROV 보다 낮다.
③ 탁류에서는 작업 제한을 받는다.
④ 포화잠수보다는 수상지원 의존도가 높다.
44. 표면공급 혼합기체 잠수장비의 수심 측정호스 끝단의 위치는?
① 헬멧의 기체 조절변 위쪽
② 헬멧의 기체 조절변 아래쪽
③ 잠수사의 최하단 부위
④ 잠수사의 가슴 중간
45. KMB 밴드마스크의 안면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굴곡되지 않는 외부 시야를 제공한다.
② 안연 창은 내외부의 차이가 없다.
③ 약 0.6cm 두께의 플라스틱 재질이다.
④ 비부식성으로 강화유리이며 긁힘에 강하다.
46. 공기 압축기에 있어 고압용과 저압용 구분 기준은?
① 토출량
② 부피
③ 6kg/㎠
④ 150kg/㎠
47. 수퍼 라이트-17 헬멧 잠수장비로 수중에서 공급호스가 파열 되었을 시 잠수사의 안면 압착을 방지해주는 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논 리턴 밸브
② 디프렉트 밸브
③ 압력균형 장치
④ 비상 기체공급밸브
48. 잠수사의 안전을 위한 표준공기순도가 옳은 것은?
① 산소 : 20 ∼ 35%
② 탄화수소 : 최대 30 ppm
③ 일산화탄소 : 최대 30 ppm
④ 먼지 및 기름 : 최대 5mg/m3
49. 호흡용 공기압축기에서 공급되는 호흡기체에 오일0l 섞여 나올 때의 원인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① 오일 점도 저온
② 흡기 고장
③ 오일 초과
④ 순환계통의 막힘
50. 수퍼라이트-17 구성 요소 중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오른쪽 측면부품대로부터 납작한 원통 부분이 1개의 너트로 고정되어 있고 원통에서 긴 관이 안면창의 곡선에 따라 여러 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
① 굴곡관
② 역지변
③ 기체확산관
④ 비상기체공급관
51. 공기압축기의 선택에 관련한 내용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압축시간이 짧아야 한다.
② 공기통의 최대허용압력 까지 충분히 압력 이 올라가야한다.
③ 기름기 , 수분, 먼지 , 유독가스 등이 분출되지 않아야한다.
④ 디젤기관보다 가솔린 기관이 유독가스가 더 많이 발생한다.
52. 표면 공급식 잠수장비 에 사용되는 공기공급 호스의 시험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제작일자로부터 3 년 경과 후 매년 시각 검사
② 5년 경과 후 600 psi 로 수입 시험 과 동시 250 kg의 장력으로 1분 간 유지
③ 제작일 자로부터 5 년 경과한 후 3000 psi로 파단력 검사
④ 제작년도 다음부터 3500 psi 로 파단 시험
53. 우리 나라에서 규정하는 고압공기 저장통 (c:ylinder bank)의 압력 검사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1년 마다 1회
② 5년 마다 1회
③ 6년 (1차 3년, 2차 3년) 후 2년 마다
④ 10년 (1차 5년, 2차 5년) 후 매 3년 마다
54. 표면 공급식 잠수장비를 주장비 와 보조장비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주장비의 품목에 들어가는 것은?
① 공기통
② 건식잠수복
③ 안전 하네스
④ 중량 벨트
55. 수퍼라이트-17 헬멧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헬멧의 외벽은 폴리카보나이트로 처리 하였다.
② 머리완충 덮개가 있다.
③ 헬멧은 비전도체인 옐로우 젤 코팅 처리를 하였다.
④ 중랑추는 부력을 상쇄시켜 준다.
56. 표면 공급식 수퍼라이트-17 헬멧의 측면 부품대(side block assembly)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환기밸브
② 역지변
③ 압력균형장치
④ 비상기체공급변
57. KMB밴드 마스크로 혼합기체잠수를 할 경우 몇 m 까지 가능 한가?
① 40m
② 50m
③ 80m
④ 90m
58. 표면공급식 잠수 헬멧의 환기밸브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안면창의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② 안면창의 물 배출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호흡기체 공급이 두절되었을 때 비상기체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④ 요구형 호흡조절기의 이상으로 기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시 사용할 수 있다
59. 수퍼라이트-17 A/8형 모델의 신형과 구형의 가장 큰 차이점은?
① 호흡조절기가 수퍼플로우 450 타입으로 개선되었다.
② 이어폰/마이크로폰의 잡음이 개선되었다.
③ 구형에 비하여 무게가 약 2kg 정도 경량화 되었다.
④ 걸쇠 (Latch/Catch) 부분이 개선되어 헬멧을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되었다
60. 표면공급식 장수장비로 잠수 중 요구형 호홉조절기에서 자유 유출 현상이 발생 하였을 경우 잠수사가 조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자유 유출 상태를 멈추기 위해 호흡 조절기를 조절한다.
② 요구헝 조절기의 자유 유출 상태를 감독관에 보고한다.
③ 잠수 감독관의 지시에 따라 잠수 중단한다.
④ 자유 유출은 잠수에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잠수 계획대로 실행한다.
4과목 : 잠수과목 |
61. 좌초된 선박을 구조하여 예인을 하는 경우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것은?
① 즉시 해체할 수 없는 구조기구는 사용하지 말 것
② 피예선의 침몰이 확실하다고 여겨지면 예색을 즉시 절단 할 것
③ 풍파가 심한 해상에서는 짧은 예색을 사용할 것
④ 충돌 및 좌초의 위험이 없는 한 천해에서 예색을 길게 한 채 급회전하지 말것
62. 수중용접의 발열 량 중 정극성의 열분배가 옳은 것은?
① (+)극 에 70%, (-)극 에 30%
② : (+)극 에 30%, (-)극 에 70%
③ (+)극 에 50%, (-)극 에 50%
④ 극성 에 관계없이 열분배는 교차한다.
63. 좌초된 선박을 구조할 때의 기본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방수와 배수
② 선저의 부력 회복
③ 선박의 중량물 제거
④ 수로의 개통
64.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지 않은 사항은?
① 잠수 기술
② 작업 시간
③ 재압실 설비기준
④ 잠수작업의 설비기준
65. 수중공사 시공계획서 중 공사개요에 기술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① 수심
② 공사장의 위치
③ 공사지점의 저질
④ 시공방법 의 기본방침
66. 음성 통화가 가능한 표면공급식 장비로 잠수작업을 할 경우 우리나라 법률에서 정하는 잠수사의 휴대물 중 반드시 잠수사가 지녀야 할 것은?
① 신호밧줄
② 수중시계
③ 예리한 칼
④ 수중압력계
67. 피복 금속 – 아크 절단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예열 시간이 필요 없다.
② 가스공급이 필요 없다.
③ 두꺼운 철 금속 절단에 효과적이다
④ 비철금속 및 합금의 절단은 산소 – 아크 절단보다 우수하다.
68. 다음 그림 은 어떤 손신호인가?
① 조난신호
② 상승 또는 정지
③ 공기가 없다.
④ 공기가 부족하다.
69. 수중작업에 쓰이는 워터젯트(waterjet)의 용도는?
① 뻘, 모래를 흡입할 때
② 딱딱한 뻘과 자갈을 흡입할 때
③ 침몰선에 부력을 추가시켜 줄 때
④ 고랑을 파거나 퇴적 물을 해체시킬 때
70. 법규에 의하면 사업주는 산업 재해가 발생한 경우 재해발생 원인 등을 기록한 문서를 몇 년 간 보존해야 하는가?
① 1년
② 3년
③ 5년
④ 10년
71. 사업주가 유해 또는 위험한 작업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잠수작업에 종사하는 잠수사의 1 일 근로시간을 초과하게 작업을 시켰다면 사업주의 벌칙은?
① 6개월 이하의 징역
② 1년 이하의 징역
③ 2년 이하의 징역
④ 3년 이하의 징역
72. 전기식 뇌관과 전기지연식 뇌관의 가장 큰 차이점은?
① 첨 장약이 다르다.
② 기폭약이 다르다.
③ 연시장치의 유무이다.
④ 각선의 길이가 다르다
73. 침몰선에서 탐색 중인 잠수사로부터 통화가 두절 되어 “2-1-2” 의 줄신호가 왔다면?
① 짧은 줄을 보내 달라
② 긴 줄을 보내 달라
③ 기록판을 보내 달라
④ 나를 즉시 상승시켜라
74. 폭속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약포지름이 크면 폭속은 작다.
② 폭속이 큰 폭약일수록 파괴력 은 작다.
③ 약포를 용기 속에 넣으면 폭속은 크게 된다.
④ 장전 비중(밀도)를 적게 하면 폭속은 크게 된다.
75. 잠수사는 자신의 건강보호 및 유지를 위하여 사업주가 실시하는 일반건강진단을 주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이를 위반 했을 때 법률에 의한 벌칙은?
① 5개월 이하의 징역
②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③ 200만원 이하의 벌금
④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76. 잠수작업 시 안전의 중요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잠수시 자신의 재해방지
② 작업능률 저하방지
③ 다른 잠수사의 재해 방지
④ 시설 등의 파손 방지
77. 해양작업에 많이 사용되는 합성 섬유색을 사릴 때 왼편색을 사리는 방향은?
① 시계 방향
② 반시계 방향
③ 8자 모양
④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78. 잠수기록부에 기입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① 잠수목적
② 통화내용
③ 반복기호
④ 잠수병의 증상 및 징후
79. 내해수성이 필요한 구조물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알루미나 시멘트
② 고로슬래그 시멘트
③ 플라이애시 시멘트
④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80. 침몰선박의 내부 격실 탐색 전 숙지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당 선박의 설계도 이해
② 동형선박 견학
③ 기록유지 및 시야 제공
④ 신속한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