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압축공기에 포함된 불활성 기체로서 지방질에 용해가 잘되고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강한 마취효과를 내는 주된기체는?
① 헬륨
② 산소
③ 질소
④ 아르곤
2. 파도가 해안에 접근하여 수심이 얕은 곳을 통과할 때 수심의 차이로 진행방향이 변하는 현상은?
① 파쇄
② 너울
③ 굴절
④ 주기
3. 같은 부피로 비교할 때 물의 열용량은 공기의 몇 배인가?
① 약 4배
② 약 800배
③ 약 1,000배
④ 약 3,200배
4. 지진으로 인해 생성되는 큰 파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세이쉬(seiche)
② 너울(swell)
③ 쯔나미(tsunami)
④ 용승(upwelling)
5. 이안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수심이 깊은 대양에서 주로 발생한다.
② 파도로 인해 해안으로 밀려오는 물에 의해 생긴다.
③ 이안류가 있는 곳에서는 수심이 갑자기 얕아진다.
④ 바다에서 육지쪽으로 흐르는 해류이다.
6. 수중으로 투과되는 빛의 양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수중으로 투과되는 빛의 양은 태양의 위치, 고도 및 빛의 반사량, 확산 등에 의해 결정된다.
② 입사각이 60°이상일 때 반사량이 가장 적다.
③ 파도가 많이 칠 때는 수면에서 반사량이 가장 적다.
④ 수중에서 부유물이 많을 때 수중으로 투과되어 확산되는 빛의 양이 적어진다.
7. 특정 해역에서의 조류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는데 필요한 것은?
① 수로지
② 조석표와 해도
③ 달력
④ 천측력(天測歷)
8. 공기는 기압의 차이가 생기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성질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것은?
① 강우
② 해류
③ 조석
④ 바람
9. 수중에 잠긴 물체가 받는 부력의 크기는 무엇과 같은가?
① 물체의 밀도
② 물체가 밀어낸 물의 부피
③ 물체의 부피
④ 물체가 밀어낸 물의 무게
10. 다음 물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그 내용이 바른 것은?
① 민물은 표면온도가 3.94℃일 때 최대 밀도를 갖는다.
② 해수는 일반적으로 340g/cm2인 밀도를 갖는다.
③ 물의 밀도는 수온에 비례한다.
④ 물의 밀도는 염분과 수압에 반비례한다.
11. 1 대기압 하에서 질소의 부분압이 0.8이라면 수심 10m 에서는 질소의 부분압이 얼마인가?
① 0.8
② 1.6
③ 2.4
④ 3.2
12. 수중에서 소리에너지가 거의 침투하지 못하는 지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소파층(sofar layer)
② 음영대(shadow zone)
③ 심층(deep zone)
④ 밀도약층(pycnocline)
13. 다음 중 달톤의 법칙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① 부력조절기
② 수온과 공기통의 압력
③ 잠수 중 산소의 부분압력
④ 수심과 질소부피의 변화
14. 물의 열전도율은 공기보다 몇 배나 되는가?
① 약 25배
② 약 360배
③ 약 2,500배
④ 약 3,600배
15. 수중에서 어떤 물체가 20미터 거리에 있다면 잠수사에게는 어떻게 보이겠는가?
① 12미터로 가깝게
② 15미터로 가깝게
③ 20미터로 같게
④ 25미터로 멀리
16. 공기압축기의 배기가스로 오염된 압축공기를 스쿠바용기(실린더)에 충진하고 수중에서 호흡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건강 장해는?
① 탄산가스 과다증
② 산소 부족증
③ 일산화탄소 중독증
④ 진폐증
17. 수면을 상승할 때 허파 속 기체 팽창률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① 수면에 가까워질수록 기체 팽창률이 크다.
② 수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③ 깊을수록 기체 팽창률이 크다.
④ 압축기체의 종류에 따라 기체 팽창률은 다르다.
18. 다음 중 공기만을 사용하는 치료표는?
① 치료표 – 1A, 2A, 3
② 치료표 – 1A, 2A, 6, 6A
③ 치료표 – 4, 5, 6, 6A
④ 치료표 – 3, 4, 5, 6
19. 다음 중 표면 감압을 할 수 없는 사항은?
① 극심한 수온의 한냉
② 거치른 해상 상태
③ 잠수사의 신체적 피로 과다
④ 초과 팽창 상승시
20. 호흡 무효공간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정상적인 호흡 후 추가로 흡입할수 없는 양
② 정상적인 호흡 후 추가로 흡입할수 있는 부분
③ 정상적인 호흡양
④ 폐표에 도달하지 못해 기체교환에 참여치 못한 부분
21. 상승율이 30fpm 보다 느리며, 지연 발생이 50피트 보다 깊은 수심일 경우 처치는?
① 그대로 상승
② 지연된 시간을 총 잠수시간에 더함
③ 지연된 시간을 총 해저체류시간에서 빼고 새로운 감압시간을 설정
④ 지연된 시간을 총 해저체류시간에서 더하고 새로운 감압계획을 설정
22. 잠수시 질식과 협착의 발생원인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호흡의 중단
② 높은 탄산가스 농도
③ 낮은 산소농도
④ 명확한 사고력 결여
23. 압력 평형시 과도한 힘으로 세게 불면 파열을 일으킬 수 있는 곳은?
① 이소골
② 전원창
③ 달팽이관
④ 전정기관
24. 표면감압표중 산소사용표면감압표의최소및 최대수심(ft)은?
① 최소 70, 최대 170
② 최소 70, 최대 200
③ 최소 40, 최대 190
④ 최소 40, 최대 170
25. 잠수와 관련된 다음의 건강 장해 중 치명률(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은?
① 중추신경계 산소독성
② 허파 과팽창 증후군
③ 중증 감압병
④ 동맥혈 기체색전증
26. 혈액이나 체액에 용해되었던 불활성 기체가 기포를 생성하여 발생하는 잠수병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기흉
② 종격기종
③ 공기색전증
④ 질소마취
27. 산소사용 표면감압시 재압챔버의 적정 수심은?
① 40 피트
② 50 피트
③ 60 피트
④ 70 피트
28. 인체의 세포 중 산소공급이 중단되었을 시 가장 먼저 손상을 받는 부위는?
① 심장
② 뇌
③ 근육
④ 허파
29. 혈액의 지혈작용을 도우며 적혈구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혈장
② 임파선
③ 혈소판
④ 호르몬
30. 잠수와 관련된 다음 장해 중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① 감압병
② 기흉
③ 이압성 골괴사
④ 고압신경증후군
31. 기관 시동장치의 방식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① 수압식
② 수동식
③ 전기식
④ 유압식
32. 표면 공급식 잠수 헬멧의 환기 변 역할이 아닌 것은?
① 안면창의 성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② 안면창의 물 배출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호흡기체 공급이 두절되었을 때 비상기체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④ 요구형 조절기의 이상으로 기체 공급이 이루워지지 않을시 사용할 수 있다.
33. 저장탱크에 충전된 고압공기의 재충전 시기는?
① 매 월
② 매 3개월
③ 매 6개월
④ 매 년
34. 잠수종(DIVING BELL)운용시 안전 및 회전방지를 위한 장치는?
① Umbilical
② Tag Line
③ Ballast
④ Life Support
35. 경량헬멧(SL-17) 잠수기구의 입마스크(oral nasal mask)와 압력균형 장치는 어떻게 소독해야 하는가?
① 프레온을 뿌려 청결을 유지한다.
② 따뜻한 물로 씻어 청결을 유지한다.
③ 염화탄화수소를 엷게 뿌려 청결을 유지한다.
④ 표백제에 담구어 두었다가 그늘에 말린다.
36. 경량헬멧(Super Lite 17)잠수기구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① 비상용 공기밸브
② 압력균형장치
③ 요구형 호흡조절기
④ 스피트 콕크(Spit Cock)
37. 챔버(Chamber)의 압력검사 시기 중 틀린 것은?
① 최초로 설치했을 때
② 이동 후 재설치했을 때
③ 설치 후 매 6개월 마다
④ 제작일자로부터 매 2년 마다
38. 밴드마스크(KMB) 잠수장비의 공기확산기(DEFLECTOR)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머플러 스폰지의 덮개
② 6개의 확산구멍와 1개의 고정구멍이 있다.
③ 크롬으로 도금된 황동 재질
④ 습기제거 및 소음 감소
39. 수중용접 절단시 정극성으로 준비하면 +극의 연결은?
① 접지선
② 토치
③ 홀더
④ 전극봉
40. 다음 포화잠수에 사용되는 DDC(Deck Decompression Chamber)의 용도를 맞게 설명한 것은?
① 산소 공급장치다
② 일반적으로 잠수사의 가압, 감압실이다.
③ 전원, 가스공급, 가압 등을 원격 조종하는 곳이다.
④ 압력 변화없이 잠수사를 작업 수심까지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41. 다음 잠수사들의 잠수기록에 대해 맞은 것은?
① 잠수기록은 직접 본인이 기입하고 마지막 기입일자부터 2년간 보관한다.
② 잠수기록을 회사에서 기록하기 때문에 본인은 작성할 필요가 없다.
③ 반복 잠수를 할 때는 잠수기록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④ 잠수감독관의 서명 날인이 되지 않은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
42. 잠수용 공기 중 탄화수소(메탄가스)의 최대 허용치는?
① 25 PPM
② 50 PPM
③ 75 PPM
④ 100 PPM
43. 다음 공기압축기(Compressor)의 윤활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고온에서 잘 타지 않아야 한다.
② 새 공기압축기는 15시간 가동하면 오일을 교환해야한다.
③ 여름철은 점도가 낮을수록 좋다.
④ 뚜껑이 열린채 보관된 윤활유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44. 수심 60M에 잠수시 산소 부분압을 1.3 절대대기압 이하로 할려고 하면 최대 산소는 몇 % 인가? (소수점 한자리 미만은 삭제)
① 16.3%
② 18.5%
③ 20.9%
④ 22.8%
45. 경량헬멧(Super Lite 17)잠수기구의 역지변 안전검사는 언제 하는가?
① 1개월전
② 7일전
③ 매 잠수시
④ 매일 첫 잠수 전
46. 전기식 뇌관과 전기지연식 뇌관의 가장 큰 차이점은?
① 첨장약이 다르다.
② 기폭약이 다르다.
③ 연시장치의 유무이다.
④ 각선의 길이가 다르다.
47. 수중용접봉을 소모한 뒤 용접봉을 가장 안전하게 교체 하려면 어는 정도를 남겨야 하는가?
① 5∼7.5cm
② 2.5∼4cm
③ 1∼2.5cm
④ 남길 필요 없다.
48. 다음 수중 아크 절단작업에서 접지선이 불완전하게 접속되었을 때 일어나는 현상 중 틀린 것은?
① 아크가 불안정하다.
② 열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③ 절단효율이 현저히 감소한다.
④ 전해작용이 급속히 증가한다.
49. 건설업에 종사하는 잠수사가 당해 업무와 관계되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특별교육은 법률에 의해 얼마나 받아야 하나?
① 1시간 이상
② 2시간 이상
③ 4시간 이상
④ 16시간 이상
50. 다음 중 수중발파에 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① 전색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② 사용 폭약은 내수성, 내압성 폭약을 이용한다.
③ 대상은 수중에 있는 콘크리트, 암석, 교각 등이다.
④ 방수 조치를 충분히 하면 안전도가 높아 도화선 발파가 가능하다.
51. 수중 절단에서 두꺼운 철판을 자를 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① 전압을 높여 예열시간을 줄인다.
② 절단봉을 톱질하듯이 진행한다.
③ 절단봉을 45°로 기울여 절단한다.
④ 절단봉을 60°로 세워서 절단해 나간다.
52. 여러 명의 잠수사를 표면의 수영자가 이끌면서 탐색하는 방법은?
① 원형 탐색
② 사자스 탐색
③ 텐더드 탐색
④ 잭스태이 탐색
53. 다음 수중 용접 절단 작업에 임하는 보조사의 안전 수칙이 아닌 것은?
① 잠수사가 작업을 하고 있을 때만 스위치를 개방하고 그 외는 전류를 차단한다.
② 잠수사가 스위치를 올리라는 신호가 오지 않았지만작업이 용이하도록 올려둔다.
③ 보조사는 잠수사가 작업하고 있는 지역 내에서는 어떤 작업도 허용해서는 안된다.
④ 잠수사와 보조사는 스위치 ON, OFF 에 대해서 서로 복명복창해야 한다.
54. 법령에 의한 잠수사의 1일 근로시간은?
① 3시간
② 4시간
③ 6시간
④ 8시간
55. 케이슨 거치시 기초 고르기가 잘 되게 하려면 수중에 무엇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매트
② 규준틀
③ 이형블럭
④ 페이퍼드레인
56. 잠수작업을 계획할 때 작업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3요소는 어느 것인가?
① 인원. 지형. 자재
② 수심. 장비. 자재
③ 인원. 장비. 자재
④ 자재. 수단. 인원
57. 다음 수중 용접 작업의 특성 중 정극성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모재의 용입이 깊다.
② 봉의 녹음이 느리다.
③ 비이드의 폭이 좁다.
④ 철판이 얇을 때 사용된다.
58. 다음 중 놋쇠, 구리, 니켈 등 비철금속 절단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① 산소-아크 절단법
② 비활성 가스 절단법
③ 메탈-아크 절단법
④ 아세틸렌 가스 절단법
59. 약실의 자유면에 투사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천공방향을 자유면에 어떤 방향으로 하는 것이 좋은가?
① 30도
② 45도
③ 직각
④ 평행
60. 수중용접 중 언더 컷(Under Cut)이 생기는 원인은?
① 전압이 낮을 때
② 전류가 낮고, 용접속도가 늦을 때
③ 전류가 높고, 용접속도가 너무 빠를 때
④ 봉의 유지각도가 불량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