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그림과 같은 곶에 파도의 집중이 생기지 않는다면 가장 가능성이 있는 것은?
① 해저의 수심에 큰 차가 있다.
② 그 지역의 모든 수심이 일정하다.
③ 해수의 밀도가 일정하다.
④ 바람이 일정하게 불고 있다.
2. 공기통에 3000 PSi를 충전한 후 온도를 재어보니 35℃였다. 시간이 지나 온도가 20℃로 떨어졌다면 압력은 어떻게 변화 되었겠는가?
① 약 2824 PSi
② 약 2834 PSi
③ 약 2844 PSi
④ 약 2854 PSi
3. 열(Heat)이 한 장소에서 다른장소로 이동되는 3가지 방법은?
① 전도, 반사, 기류
② 전도, 복사, 대류
③ 복사, 대류, 가열
④ 복사, 반사, 가열
4. 해류에 의한 해수의 유동 중 그 원인이 아닌 것은?
① 바람
② 달의 인력
③ 지구의 자전
④ 해수의 온도 및 염분도
5. 바다 속에서 방향을 알 수 있는 참고사항이 아닌 것은?
① 조류의 방향
② 수온 약층
③ 해의 방향
④ 바닥의 경사면
6. 해수 40m에서 잠수사가 호흡하는 공기 중의 산소부분압은?
① 2기압
② 0.5기압
③ 1.05기압
④ 3.15기압
7. 다음 압력에 관한 것 중 맞는 것은?
① psia = psig – atm
② psia = psia ÷ psig
③ psig = psia – 14.7psi
④ psig = psig – 1.033kg/cm2
8. 수중에서 명암의 차이가 약화되는 원인은 어떤 영향 때문인가?
① 빛의 굴절
② 빛의 확산
③ 빛의 흡수
④ 빛의 반사
9. 바람이 연안에서 바닷쪽으로 계속불면 연안의 따뜻한 물이 바닷쪽으로 흘러가고 깊은 수심의 찬물이 상승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용승류
② 연안류
③ 표층해류
④ 심층해류
10. 파도는 해안 가까이 접근할 때 파고의 주기는 일정하지만수심이 얕아짐에 따라 파장과 파고가 어떻게 변하는가?
① 파장과 파고가 회절 한다.
② 파고는 높아지고 파장은 변화 없다.
③ 파고는 낮아지고 파장은 길어진다.
④ 파고는 높아지고 파장은 짧아진다.
11. 파도의 크기를 좌우하는 것 중 관계가 적은 것은?
① 풍속
② 취속시간
③ 취송거리
④ 취송방향
12. 파의 속도가 7.3m/초이고 주기가 4초라면 파장은 몇m 인가?
① 29.2m
② 19.3m
③ 11.3m
④ 3.3m
13. 심해포화잠수에 주로 사용되는 기체로 마취효과가 없으며 물질 중 빙점이 가장 낮고 불활성이며 산소와 희석해서 사용되는 기체는?
① 이산화탄소
② 질소
③ 수소
④ 헬륨
14. 헨리의 법칙에 의하면 액체 속에 녹아들어 가는 기체의 양은 그 기체의 무엇에 비례하는가?
① 절대압
② 부분압
③ 계기압
④ 대기압
15. 산소의 농도가 40%인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잠수하려 할 때 최대 잠수가능한 수심은 몇m 인가? (단, 산소허용 한계치는 1.6대기압이다.)
① 20m
② 25m
③ 30m
④ 35m
16.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직접 이루어지는 폐의 기관은?
① 폐포
② 기관지
③ 세기관지
④ 엽기관지
17. 질소마취의 일반적 증상이 아닌 것은?
① 졸림
② 현기증
③ 사고력 상실
④ 자만심과 도취감
18. 표면감압 계획시 표면간격 5분 이라 함은?
① 수중마지막 정지점부터 챔버 40피트의 소요시간
② 수중마지막 정지점부터 챔버 50피트의 소요시간
③ 장비해체 시간
④ 산소 호흡시간
19. 잠수심도 58미터(190 피트), 체류시간 40분후 해상상태가 악화되었다 적절한 표면 감압의 선택은?
① 표준감압표
② 공기사용 표면 감압표
③ 산소사용 표면 감압표
④ 반복 잠수 계획표
20. 공기사용 표면감압표에서 수심 140피트(43미터)일 때 수중 마지막 정지점은?
① 10피트
② 20피트
③ 30피트
④ 40피트
21. 반복잠수에 관한 설명이 가장 옳은 것은?
① 전잠수로부터 10분이상 6시간 이내의 잠수
② 전잠수로부터 20분이상 8시간 이내의 잠수
③ 전잠수로부터 10분이상 12시간 이내의 잠수
④ 전잠수로부터 20분이상 24시간 이내의 잠수
22. 산소사용 표면감압중 챔버의 산소공급시설이 고장났을 시 조치사항 중 틀린 것은?
① 공기로 40피트 정지점 완료
② 20피트로 상승, 40피트 정지시간 반복
③ 10피트로 상승, 40피트 정지시간 반복
④ 10피트로 상승, 40피트 정지시간의 2배 지체
23. 감압계획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수심과 시간은 각각 10피트, 10분 단위
② 같은 수심이나, 한단계 깊은 수심 선택
③ 체류시간은 같거나, 많은 것을 선택
④ 97피트 31분 일 때 100/30 감압표 선택
24. 산소사용 치료표-4를 사용할 때 관계가 없는 것은?
① 60피트에서 TYPE-Ⅱ 증상의 악화시
② 165에서 30분 후에도 기체색전증이 해소되지 않을시
③ 60피트 또는 더 깊은 수심에서 증상의 재발시
④ 수중 증상의 치료해소시
25. 산소사용 재압치료표를 나열한 것은?
① 치료표 – 1A , 2A , 3 , 4
② 치료표 – 1A , 3 , 5 , 6
③ 치료표 – 5 , 6 , 6A , 7
④ 치료표 – 2A , 5 , 6 . 7
26. 잠수사의 의식상실이 수반되는 산소 분압은?
① 0.1 기압
② 0.12기압
③ 0.16기압
④ 0.2기압
27. 산소사용 표면감압시 산소 감압시간이 30분 초과될 때 몇 분을 공기로 호흡하는가?
① 3 분
② 5 분
③ 7 분
④ 10 분
28. 지식(止息) 잠수를 하기전에 초과호흡을 과다하게 하면 위험한 이유는?
① 체내 산소 부분압이 증가하므로
② 체내 산소 부분압이 감소하므로
③ 체내 이산화탄소 부분압이 감소하므로
④ 체내 일산화탄소 부분압이 감소하므로
29. 기체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 맞는 것은?
① 빨리 하잠할 때
② 깊은 수심일 때
③ 감압을 하지 않았을 때
④ 급상승 하였을 때
30. 구조자가 2명일 경우 심장의 누름 속도는?
① 분당 60번의 속도로 5회
② 분당 80번의 속도로 6회
③ 분당 20번의 속도로 15회
④ 분당 20번의 속도로 20회
31. 잠수작업 장소와 수중 폭파지점의 최소 안전거리는?
① 2400미터
② 1800미터
③ 1200미터
④ 900미터
32. 다음 잠수장비의 수심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6개월에 한번씩 정확도 검사
② 허용 오차는 50피트에 1피트다.
③ 허용 오차는 300피트에 3피트다.
④ 1년에 한번씩 정확도 검사
33. 모든 잠수장비는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빙초산 : 물을 혼합하여 소제를 한다. 그 비율은 얼마인가?
① 물 16 : 빙초산1
② 물 1 : 빙초산16
③ 물 1 : 빙초산1
④ 물 1 : 빙초산8
34. 온수기 사용 중 연료유 검사는 몇 시간마다 하는가?
① 8시간
② 6시간
③ 4시간
④ 2시간
35. 잠수용 공기호스와 연결되는 구명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공기 호스의 장력 제거
② 하잠 및 상승시 잠수사 유도
③ 잠수사에게 온수 공급
④ 잠수사와 보조사의 줄신호
36. 경량헬멧(Super Lite-17) 잠수기구로 비포화잠수를 한다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장비는?
① 건식 잠수복
② 잠수 컴퓨터
③ 잠수용 칼
④ 잠수종 또는 PTC
37. 다음 공기압축기(Compressor)의 화학여과기 중 기름과 냄새를 제거해 주는 물질은?
① 활성탄
② 실리카겔
③ 알루미나
④ 소다솔브
38. 잠수사가 7대기압에서 헬륨/산소 혼합기체를 호흡하면 호흡으로 손실되는 열손실은 인체 생성열의 몇 %가 되겠는가?
① 14%
② 28%
③ 36%
④ 45%
39. 심해잠수용 공기중 먼지 및 기름의 최대 허용치는?
① 2 mg/m3
② 5 mg/㎥
③ 500 ppm
④ 1,000 ppm
40. 표면공급용 심해잠수장비의 초과팽창상승(Blow-up) 방지를 위한 것은?
① 공급변,역지변
② 공급변,친보턴
③ 배출변,역지변
④ 배출변,친보턴
41. 챔버 내부에 비치하는 소화기는?
① 물 또는 모래
② 화학 물질
③ 분말 소화기
④ 이산화탄소 소화기
42. 표면공급 혼합기체 잠수시 사용되는 호흡 기체는?
① 공기, 산소, 헬륨/산소 혼합기체
② 공기, 질소, 헬륨/산소 혼합기체
③ 산소, 헬륨/질소 혼합기체
④ 공기, 헬륨/산소 혼합기체
43. 심해잠수시 공기측심기로 수심을 측정 하였을시 안전상의보정 중 맞는 것은?
① 수심 100피트 이내: + 2 fsw
② 수심 101 ~ 200피트: + 3 fsw
③ 수심 201 ~ 300피트: + 4 fsw
④ 수심 301피트 이상 : + 5 fsw
44. 경량헬멧(SUPER LITE 17) 역지변 검사는 언제 실시하는가?
① 매 잠수 전
② 매 잠수 후
③ 매 잠수일 첫 잠수 전
④ 매 잠수주 첫 잠수 전
45. 경량헬멧(SUPER LITE 17) 잠수장비의 단점은?
① 비상기체 휴대가능
② 공기공급의 무제한
③ 양호한 음성통화
④ 보조사의 도움이 필요
46. 다음 중 잠수 기록부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① 잠수사의 하잠시간
② 잠수사의 해저 체류시간
③ 잠수사의 수심
④ 잠수사와 전화 기록수의 통화내용
47. 와이어 로프의 매듭(Splice)설치 후 강도가 가장 높은 것은?
① Eye splice
② Short splice
③ Long splice
④ Wire clip splice
48. 침몰선에서 바테리(battery)액과 해수의 화합으로 발생하는 유독성 기체는?
① 유화수소
② 염소
③ 일산화탄소
④ 이산화탄소
49. 다음 중 반복 잠수를 맞게 설명한 것은?
① 매일 2회 이상의 잠수
② 잠수 후 16시간내 재 잠수
③ 잠수 후 12시간내 잠수
④ 잠수 후 24시간내 잠수
50. 표면공급 혼합기체 잠수시 감압표상의 최대 해저체류시간은?
① 60분
② 100분
③ 120분
④ 180분
51. 다음 수중 발파 작업을 하려고 한다. 표면 발파 공법을 선택했을 때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① 폭약 간격
② 폭약 배치
③ 폭약량
④ 천공길이
52. 잠수작업 중 보조사가 잠수사에게 “이상 없는가?”에 해당하는 줄 신호는?
① 4 번 당김
② 3 번 당김
③ 2 번 당김
④ 1 번 당김
53. 다음 수중용접의 비이드 강도를 산출하는 식은?
① 용접길이 1cm당 ÷ 6(안전계수)
② 용접봉 2cm당 ÷ 3(안전계수)
③ 용접봉 2cm당 ÷ 1(안전계수)
④ 용접길이 1cm당 +(3안전계수)
54. 폭발속도란 폭발파가 전파되는 속도를 말한다 폭발속도가 지배받지 않는 것은?
① 장전 밀도
② 폭약의 양
③ 약포의 지름
④ 사용자의 경험
55. 선체 인양시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배수시킬 때 방수처리 방법은?
① 내부 방수
② 외부 방수
③ 누수공이 큰 곳만 방수
④ 누수가 심한 기관실만 방수
56. 다음 수중작업의 시공계획서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① 인원
② 공사개요
③ 사용장비
④ 실시공정표
57. 버킷으로 해저의 토석이나 파쇄된 암석을 토운선에 적재하는 것으로 토사, 모래 및 자갈 섞인 토사에 적합한 준설선은?
① 호퍼준설선
② 디퍼준설선
③ 그래브준설선
④ 펌프준설선
58. 피예인선을 예인하는데 있어서 안전 수칙에 어긋나는 것은?
① 즉시 해체할 수 없는 구조기구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② 풍파가 심한 해상에서는 짧은 예색을 사용해야 한다.
③ 윤활장치가 원활하지 않으면 프로펠러를 제거시킨다.
④ 피예인선에는 반드시 예색감시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59. 암석의 투사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자유면에 천공하는 방법은?
① 직각으로
② 평행으로
③ 경사 방향으로
④ 연직 방향으로
60. 잠수작업에 종사하는 잠수사의 근무시간에 있어서 1주 몇 시간을 초과 할 수 없는가?
① 24시간
② 30시간
③ 34시간
④ 37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