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금일 때 달의 모양은 어떤 형태로 보이는가?
① 반달
② 초생달
③ 보름달
④ 일정하지 않다.

 

 

 

2. 담수보다 해수에서 부력을 더 많이 받는 이유는 다음 중 무엇과 관계가 깊은가?
① 물의 밀도
② 물의 수심
③ 물의 온도   
④ 대기압을 받는 수면의 넓이

 

 

 

3. 수중에서 소리가 발생하고 2초후에 소리를 들었다면 여기에서 음원까지의 거리는 약 얼마인가?
① 약 1,400m
② 약 2,100m
③ 약 3,000m
④ 약 3,500m

 

 

 

4. 다음 해도의 표시중 틀리게 설명한 것은?
① MS:모래섞인 펄
② R:바위
③ CO:산호
④ Cy:해초

 

 

 

5.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는 절대압력에 반비례하고 밀도는 압력에 비례한다”는 기체의 법칙은?
① 보일의 법칙
② 챨스의 법칙
③ 달톤의 법칙
④ 헨리의 법칙

 

 

 

6. 심해 잠수시 공급되는 혼합기체인 헬륨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질소마취 증상을 해소
② 열전도율이 낮아 보온에 양호
③ 고압력 하에서 언어장애 증상
④ 무색, 무미, 무취한 단원자 분자

 

 

 

7. 수중 물체의 실상이 6m에 있다면 허상은 몇m에 있으며, 또 이것은 무슨 현상인가?
① 허상 5m, 빛의 굴절   
② 허상 4.5m, 빛의 굴절
③ 허상 4m, 빛의 흡수   
④ 허상 3.5m, 빛의 일시적 착란

 

 

 

8. 다음 공기의 구성요소 중 고농도에서는 신맛과 신냄새가 나는 기체와 공기 중 함량(%)은?
① CO2, 0.033 %
② Ar , 0.093 %
③ O2, 20.94 %
④ N2, 78.08 %

 

 

 

9. 우리나라 황해와 동해로 흘러 들어와서 각 황해 난류와 동한 난류를 이루는 아열대 해류는?
① 쿠로시오 해류
② 리만 해류
③ 쿠릴 해류
④ 쓰시마 해류

 

 

 

10. 물은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얼마나 높은가?
① 5배
② 15배
③ 25배
④ 35배

 

 

 

11. 폐의 팽창과 관련하여 위험도가 높은 수심권은?
① 표면에서 3m
② 표면에서 6m
③ 표면에서 10m
④ 표면에서 15m

 

 

 

12. 해안파가 생기는 곳의 국지적인 흐름으로 파도와 바람에 의해 해변에 나란히 흐르는 해류는?
① 역류
② 연안류
③ 취송류
④ 용승류

 

 

 

13. 해수의 유동을 옳게 연결한 것은?
① 해류 – 항구적 운동
② 조류 – 일시적 운동
③ 파도 – 주기적 운동
④ 해일 – 주기적 운동

 

 

 

14. 수중에서 빛이 확산되는 주된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물분자에 의한 확산
② 수중의 부유물에 의한 확산
③ 투명한 생물학적 유기체에 의한 확산
④ 수면의 파도에 의한 확산

 

 

 

15. 해류의 생성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압력경도력
② 바람의 응력
③ 유체 내부의 마찰력
④ 바닷물의 압력

 

 

 

16. 감압시 주의해야할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압력은 급격하게 조작하면 안된다.
② 낮은 수심에서는 자주 오랫동안 정지한다.
③ 감압중인 잠수사를 자주 관찰한다.
④ 호흡을 빨리하기 위해 잠수사에게 운동을 유도한다.

 

 

 

17. 수심 30m에서 24분간 잠수했다면 문자그룹은?
① F
② G
③ H
④ I

 

 

 

18. 인체에서 산소와 탄산가스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은?
① 기관지
② 폐포
③ 늑막
④ 심장

 

 

 

19. 허파압착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각종 잠수장비 또는 잠수법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기본조건은?
① 매 호흡 때마다 공급되는 호흡기체의 양이 일정해야한다.
② 체류하고 있는 수심의 수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의 호흡기체가 공급되어야 한다.
③ 각 장비에 따라 잠수 허용수심 범위내에서만 잠수를 하여야 한다.
④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급상승할 수 있는 조처가 갖추어져야 한다.

 

 

 

20. 해저를 향하여 하잠하는 중에 눈 주위 또는 눈 뒤쪽에 날카로운 통증을 느꼈고, 수면에 복귀한 후 코로부터 혈성 분비물이 관찰되었을 때 가장 가능성이 높은 건강 이상은?
① 물안경 압착증
② 부비동 압착증
③ 동맥혈 기체색전증
④ 안구 압착증

 

 

 

21. 중이 압착의 발생 원인은?
① 외이 통구 폐쇄
② 압축된 공기 용량에 따라 중이 공간에 상대성 진공 생성
③ 포위된 공간에서 기압외상과 관계되며 압축되면 폐쇄
④ 외이 통구의 과대한 개방

 

 

 

22. 주어진 수심에서 상승시 감압 정지점을 거치지 않고 상승할 수 있는 최대시간을 무었이라 하는가?
① 반복 잠수
② 단일 잠수
③ 표면 간격
④ 비 감압

 

 

 

23. 표면공급 장비로 190피트에서 60분간 잠수 후 수중 감압중 해상 상태가 악화되어 표면감압으로 전환하려한다. 적절한 감압표는?
① 산소사용 표면감압표
② 공기사용 표면감압표
③ 표준 공기감압표
④ 질소사용 표면감압표

 

 

 

24. 상승율을 느리게하여 상승시간을 맞추거나, 수면하 10피트에서 필요한 상승시간만큼 지체해주는 상승율 변화는?
① 상승율이 30fpm보다 느리며, 감압이 요구되지 않을시
② 상승율이 30fpm보다 빠르며, 감압이 요구되지 않을시
③ 상승율이 50fpm보다 느리며, 감압이 요구될시
④ 상승율이 50fpm보다 빠르며, 감압이 요구될시

 

 

 

25. 표준 재압치료표의 가장 깊은 치료수심을 맞게 나열한 것은?
① 50피트, 60피트, 100피트
② 50피트, 90피트, 165피트
③ 60피트, 100피트, 165피트
④ 90피트, 130피트, 190피트

 

 

 

26. 보통 성인의 폐세포내 잔여 용적은 얼마인가?
① 0.5∼1리터
② 1∼1.5리터
③ 1.5∼2리터
④ 2∼2.5리터

 

 

 

27. 잠수사가 심한 추위에 노출되었거나 중작업을 하였을 때 감압계획을 어떻게 하는게 옳은가?
① 감압은 중요하므로 규정대로 지킨다.
② 최대 수심은 그대로 유지하고 해저체류시간만 한 단계 더 높인다.
③ 최대수심과 해저체류시간을 각각 한 단계 더 올려 감압을 시킨다.
④ 최대수심은 그대로 유지하고 해저 체류시간만 두 단계 더 높인다.

 

 

 

28. 흡연이 질소에 미치는 영향 중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질소마취
② 감압병의 발생빈도 증가
③ 기체색전증을 유발하기 쉽다
④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 감소된다

 

 

 

29. 다음 중 재압 챔버의 치료가 필요치 않은 것은?
① 감압병
② 질소마취
③ TYPE-I 증상
④ 일산화탄소 중독

 

 

 

30. 잠수사에게 영향을 주는 산소 결핍증의 한계는?
① 0.12 ATA
② 0.16 ATA
③ 0.24 ATA
④ 0.20 ATA

 

 

 

31. 표면 공급식 심해 잠수시 이상적인 공기공급 체계는?
① 여과기 → 고압공기압축기 → 저장탱크 → 감압기 → 콘솔
② 여과기 → 고압공기압축기 → 저장탱크 → 콘솔
③ 여과기 → 저압공기압축기 → 저장탱크 → 가압기 → 콘솔
④ 여과기 → 저압공기압축기 → 저장탱크 → 콘솔

 

 

 

32. 경량헬멧(Supper Lite 17)잠수 장비의 공기잠수 최대 수심(FSW)은?
① 100FSW
② 150FSW
③ 190FSW
④ 200FSW

 

 

 

33. 왕복형 고압 압축기는 저속, 중속, 고속 부분으로 다단식으로 형성하였다. 그 이유는?
① 공기의 청결을 위하여
② 공기의 관성과 압축 온도를 고려하여
③ 더 빠른 공기 압축을 위하여
④ 공기를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하여

 

 

 

34. 해난 구조작업 계산에 사용되는 용어인 톤즈퍼인치 (Tons per Inch)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해수에서 선미 최소 흘수 1인치 (2.54cm)변화에 요구되는 치수
② 배를 전후부 1인치(2.54cm)변화시키는 무게의 치수
③ 침수 1인치(2.54cm)당 Ton으로 나타낸다.
④ 좌초 반응력 계산시 흘수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을 때 사용

 

 

 

35. 챔버의 압력계기들은 얼마만에 정확도 검사를 하여야 하는가?
① 1년
② 2년
③ 3년
④ 6개월

 

 

 

36. 다음 호흡조절기(Regulator)정비시 염분을 제거하려면 빙초산 : 물의 알맞은 비율은?
① 16 : 1
② 8 : 1
③ 1 : 16
④ 1 : 8

 

 

 

37. 다음 중포화 잠수시잠수사를 가압, 감압, 재압시키는곳은?
① JIM
② PTC
③ DDC
④ DSRV

 

 

 

38. 다음 잠수종(Diving Bell)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① 돔(Dome)
② 중량추
③ 호흡매체장치
④ 스피트 콕크(Spit Cock)

 

 

 

39. 챔버(Chamber)의 압력 검사시 내부 수심은 몇m까지 올린 후 누설시험을 하는가?
① 약30m
② 약50m
③ 약70m
④ 약100m

 

 

 

40. 경량헬멧(Super Lite 17) 잠수 장비의 헬멧에서 물이 누수된 다. 해결 방법으로 틀린 것은?
① 감독관에게 보고한 후 비상탈출을 시도한다.
② 머리를 약간 왼쪽으로 기울이고 바로 선자세를 취한다.
③ 2단계 퍼지 버튼을 누른다.
④ 헬멧 내에 계속 물이 들어오면 환기변을 연다.

 

 

 

41. 수심계의 정확도 검사 및 오차 허용치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허용 오차는 수심 0∼15m 까지 30cm
② 허용 오차는 수심 15∼90m 까지 1.5m
③ 정확도 검사는 4개월에 한번씩
④ 정확도 검사는 1년에 한번씩

 

 

 

42. 표면공기 공급식 잠수의 수심계 호스는 최초의 압력검사를 한 후 몇년 마다 압력검사를 하는가?
① 1년
② 2년
③ 3년
④ 4년

 

 

 

43. 표면공급식 밴드 마스크(KMB) 잠수 장비의 압력균형 장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일반적으로 순수 황동으로 되어있다
② 안면창 받침대 아래에 부착
③ 밀고 당기기 쉽게 손잡이 달림
④ 압력 균형에 용이하게 굽혀진 형태

 

 

 

44. 호흡용 공기 순도 허용치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산소 : 용량당 20∼22 %
② 탄화수소 : 최대 50PPM
③ 일산화탄소 : 최대 100PPM
④ 이산화탄소 : 최대 2,000PPM

 

 

 

45. 혼합기체 잠수시 기체가 두절되어 비상 공기 감압표로 전환시 가장 깊은 수심은?
① 40 FSW
② 50 FSW
③ 60 FSW
④ 70 FSW

 

 

 

46. 잠수 계획시 이산화탄소 정화제를 사용할 때의 고려요인은 무엇인가?
① 수심
② 장비
③ 잠수사 신체
④ 수온

 

 

 

47. 높은 산악지대의 호수나 강에서 잠수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가?
① 수심계는 실제 수심 보다 낮게 나타나므로 수심을 표시한 측심연을 사용하여야 한다.
② 상승속도는 고도가 높을수록 천천히 상승해야 한다.
③ 부력은 바다 보다 적기 때문에 중량추를 줄인다.
④ 수심계는 실제 수심 보다 깊게 나타나므로 수심을 표시한 밧줄을 사용한다.

 

 

 

48. 해면 공급식 잠수중 공기가 두절되거나 공기 호스가 파열되었을 때 비상사태의 안전수칙이 아닌 것은?
① 배출 밸브를 연다.
② 배출밸브를 잠근다.
③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행동한다.
④ 수심계 호스를 잠수복 소매에 넣고 계속적인 공기공급을 요청한다.

 

 

 

49. 다음 잠수작업의 실시 공정표를 작성하기 위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현장조건 조사 후 시공방법을 결정한다.
② 장비선정 및 인원을 배치하여 하루의 작업량을 결정한다.
③ 각 인원, 장비, 자재등의 조달 및 사용 계획을 세운다.
④ 각종 작업의 안전에 대한 것을 반드시 기재한다.

 

 

 

50. 혼합기체잠수로 잠수작업을 계획할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관계가 것은?
① 잠수인원
② 잠수수심
③ 현장의 조건
④ 해저체류시간

 

 

 

51. 항해중이던 선박이 암초에 걸려 침몰되었다. 이 선박을 구조하려면 어떤 순서로 작업을 해야 하는가?
① 탐색 – 인양 – 방수 – 배수 – 예인
② 인양 – 방수 – 배수 – 예인 – 입항
③ 탐색 – 방수 – 인양 – 배수 – 예인
④ 인양 – 예인 – 방수 – 배수 – 입항

 

 

 

52. 수중 MAPP GAS 절단법에서 절단에 결함이 생기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절단속도가 빨랐을 때
② 절단속도가 느렸을 때
③ 물의 급속한 냉각작용
④ 불충분한 예열이 되었을 때

 

 

 

53. 수중 절단작업을 하던 도중 작업이 여의치않아 상승하였다. 이때 잠수 감독관에게 보고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① 장비의 파손 상태
② 잠수시계의 분실
③ 작업 중단의 원인
④ 수중에서 다친 외상

 

 

 

54. 소할발파에서 가장 효율적인 발파법은?
① 천공법
② 사혈법
③ 복토법
④ 외부장약법

 

 

 

55. 수중용접시 정극성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모재의 용입이 깊다.
② 봉의 녹음이 느리다.
③ 비이드의 폭이 좁다.
④ 비철금속 용접시 용이하다.

 

 

 

56. 주철 및 비철금속을 절단할 때 비효율적인 방법은?
① 산소-아크로 절단한다.
② 톱질하는 식으로 절단한다.
③ 전류를 높여 용접봉으로 절단한다.
④ 관형인 경우 산소 대신 압축공기로 대처한다.

 

 

 

57. 수중공사 시공계획서 중 공사개요에 기술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① 수심
② 공사장의 위치
③ 공사지점의 저질
④ 시공방법의 기본방침

 

 

 

58. 경량헬멧(Super Lite 17)잠수의 최소 구성인원은?
① 3명
② 5명
③ 9명
④ 7명

 

 

 

59. 잠수사로부터 3-2번의 줄당김 신호가 왔다. 무슨 뜻인가?
① 공기를 줄여라.
② 하잠줄을 늦춰라.
③ 공기를 많이 보내라.
④ 나는 줄이 엉켰다. 대기잠수사의 도움이 필요하다.

 

 

 

60. 시야가 좋고 탐색면적이 넓은 지역을 탐색하려고 한다. 가장 적합한 탐색은?
① 잭스태이 탐색
② 서클링 탐색
③ 수영자예인 탐색
④ 텐더드 탐색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