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의 예비전력 혁신을 위한 상근예비군 제도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강용구 (2020). 「예비군훈련대 운영 및 과학화 예비군훈련 발전 방향」. 『한국군사학논총』, 32-36.
강용구 (2021a). 「미래 한국사회 예비군 자원감소에 대비한 예비전력정책 추진방향」. 『2021년 學·軍·硏 예비전력 발전세미나』, 21-28.
강용구 (2021b). 「예비군 자원감소에 대비한 한국 예비전력정책에 대한 연구」.『한국군사학논총』. 15-17.
강용구 (2021c). 「미래 육군의 예비전력 부대구조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군사』, 19-21.
강용구, 이환철, 정진섭 (2022). 「미래 육군의 예비전력 부대구조 개편 방안 연구」.『한국군사』, 16-19.
강정미 (2022.5.5). 「지원율 뚝 떨어진 ROTC, 인기 시들해진 이유」.『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23/ 0003689568 (검색일: 2022년 5월 6일).
구원근, 박현호 (2019). 「싱가포르 예비군제도 사례를 통해 본 예비전력 발전 연구」. 『군사연구』, 28-35.
국방부 (2020).『2021-2025 국방중기계획』.
국방부 (2022).『국방비전 2050』.
김관수 (2021). 「미래戰 양상을 대비한 예비전력 혁신방안」.『합동포럼』, 34-39.
김성규 (2013). 「한국의 예비전력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38-75.
김태산 (2020). 「독일 예비군의 변천과정과 그 시사점」.『국방연구』, 23-36.
김태선 (2011). 「미래전 양상에 부합한 한국군 예비전력 운용방안」, 35-42.
나주석 (2021.8.12). 「군인연금 이제라도 손보자 작년 1조 5799억 적자. 정부가 보전」『아시아경제』https://n.news.naver.com/ article/277/0004952839?lfrom= kakao (검색일: 2022년 5월 31일).
대한민국 국방부 (2022).『국방비전 2050』. 서울 : 국방출판지원단.
대한민국 육군 (2021).『동원 및 예비군 업무』. 대전: 국방출판지원단.
두진호 (2022).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평가와 함의」. 제3회 RINSA 포럼.
메튜 넬슨 (2002).「Understanding the United States Army Reserve」. 『Briefinf Slide』, 36-41
민병권 (2022.2.25). 「세계4위 군사강국 우크라, 동네북 전락. 어쩌다 이지경까지」. 『서울경제』http://m,sedaily.com/NewsView/ 262A2L1HJ3#cb (검색일: 2022년 5월 1일).
민병후 (2021). 「비상근 예비군제도 확대 추진전략」.『2021년 국회 정책토론회』.
배일수 (2022a). 「180일 장기 비상근 예비군 제도 시행」. 『동원&예비군』, 79-84
배일수 (2022b). 「코로나 19(COVID-19)가 인간안보에 주는 함의와 한국 국방의 실천적 유용성 고찰」.『한국군사』, 42-49
신다윗·정철우 (2016). 「미국 예비군의 발전 사례를 통한 한국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제언」. 『주간 국방논단』, 61-75
양승봉 (2022), 『예비전력 관점에서 바라본 우크라이나 사태 시사점』. 논산 : 국방대학교.
연합뉴스(2023.10.11.). 「이스라엘, 전세계서 예비군 36만 명 총동원…50년 만 최대 규모」
https://www.yna.co.kr/view/AKR20231011071100009 (검색일: 2023년 11월 1일).
오민 (2022). 「미국의 모병 및 예비군 제도 소개」.『국회도서관』, 16-21.
유승근 (2022.4.12). 「군사작전 관점에서 본 러시아-우크라이나전(上)」.『국방일보』
https://kookbang.dema.mil.kr / n e w s W e b / m / 2 0 2 2 0 4 1 3 / 7 / B B S M S T R
_000000010026/view.do) (검색일: 2022년 4월 18일).
유현기 (2018). 「예비군 교육훈련 개선방안 연구 -간부예비군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67-79.
육군 (2021). 『2021년 육본 비상근 예비군제도 교육 자료』. 내부자료.
육군 (2021).『동원 및 예비군 업무』.
육군교육사령부 (2022).『미래 작전환경 분석서』.
윤지원 (2021). 「상비군 감축 시대 예비전력 운용과 구축 방안」.『세계지역연구논총』, 69-82.
윤지원 (2022). 「국민이 바라는 예비전력 정예화와 추진 동력 확보」.『군사저널』, 75-81.
윤지원ㆍ배일수 (2021). 「인간안보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함의에 대한 고찰」.『전략연구』, 54-62.
이웅·채광원 (2020). 『미래 육군 병력동원 적정 소요 연구』.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
이종혁 (2022.2.23). 「이대로 가면 대한민국 사라진다. 작년 합계출산율 0.81명 세계 최저」. 『매일경제』https://m.mk.co.kr/news/economy/view/2022/ 02/14590/ (검색일: 2022년 4월 18일).
정진섭 (2019). 「통일 이후 한국의 예비전력 운영에 관한 연구-적정 예비군 규모 판단과 제도 정립을 중심으로」, 76-84.
정철우·정동현 (2020). 「독일 예비군 개혁과 시사점」.『국방논단 』, 33-38.
조관호 (2021). 「미래 병력운영과 병역제도의 고민」.『국방논단』, 52-59.
최환철 (2021). 「우리의 당면 안보상황은 ‘예비전력 정예화’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동원예비군』, 65-71.
60사단 (2022). 『 ‘22년 장기비상근 예비군 시범운용간 설문조사 결과』.
Eurasia, Pax (2022.2.23). 「우크라이나, 30일간 비상사태 선포, 도네츠크·루간스크 지역 제외, 예비군 36,000명 동원」『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 com/paxeurasia/222655988089 (검색일: 2022년 2월 23일).
Matt, Nelson (2020). 「Understanding and Comparing the US Army Reserve.」 『學·軍·硏 예비전력 발전 세미나』. 서울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8-33.
1개의 댓글
Somebody necessarily help to make severely articles I would state. This is the first time I frequented your web page and so far? I surprised with the analysis you made to create this actual submit extraordinary. Excellent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