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과목 : 공중위생법규 |
51. 공중위생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중위생영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이·미용업
② 위생관리용영업
③ 학원영업
④ 세탁업
52. 영업소 외의 장소에서 이·미용 업무를 행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질병으로 영업소에 나올 수 없는 경우
② 결혼식 등의 의식 직전인 경우
③ 손님의 간곡한 요청이 있을 경우
④ 시장·군수·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
53. 영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로서 신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경우 해당하는 처벌기준은?
①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② 6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③ 200만원 이하의 벌금
④ 100만원 이하의 벌금
54. 공익상 또는 선량한 풍속유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이·미용업의 영업시간 및 영업행위 에 관한 필요한 제한을 할 수 있는 자는?
① 관련 전문기관 및 단체장
② 보건복지부장관
③ 시·도지사
④ 시장·군수·구청장
55. 다음 중 이·미용사 면허를 취득할 수 없는 자는?
① 면허 취소 후 1년 경과자
② 독감환자
③ 마약중독자
④ 전과기록자
56. 처분기준이 2백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아닌 것은?
① 규정을 위반하여 영업소 이외 장소에서 이·미용업무를 행한 자
② 위생교육을 받지 아니한 자
③ 위생 관리 의무를 지키지 아니한 자
④ 관계 공무원의 출입·검사·기타 조치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
57. 다음 중 이·미용사 면허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해당 하는 것은?
① 전문대학 또는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교육과학 기술부장관이 인정하는 학교에서 이용 또는 미용에 관한 학과 졸업자
②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인정하는 인문계 학교에서 1년 이상 이·미용사자격을 취득한 자
③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이·미용사자격을 취득한 자
④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인정한 고등기술학교에서 1년 이상 이·미용에 관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한 자
58. 이·미용기구의 소독기준 및 방법을 정한 것은?
① 대통령령
② 보건복지부령
③ 환경부령
④ 보건소령
59. 이·미용업자의 준수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소독한 기구와 하지 아니한 기구는 각각 다른 용기에 넣어 보관할 것
② 조명은 75룩스 이상 유지되도록 할 것
③ 신고증과 함께 면허증 사본을 게시할 것
④ 1회용 면도날은 손님 1인에 한하여 사용할 것
60. 공중위생관리법상의 위생교육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위생교육 대상자는 이·미용업 영업자이다.
② 위생교육 대상자는 이·미용사이다.
③ 위생교육 시간은 매년 8시간이다.
④ 위생교육은 공중위생관리법 위반자에 한하여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