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과목 : 공중위생법규 |
22. 이·미용업소 내에 반드시 게시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은?
① 이·미용업 신고증
② 개설자의 면허증 원본
③ 최종지불요금표
④ 이·미용사 자격증
23. 다음 중 이·미용업의 시설 및 설비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소독기, 자외선 살균기 등의 소독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② 영업소 안에는 별실, 기타 이와 유사한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③ 응접장소와 작업장소를 구획하는 경우에는 커튼, 칸막이 기타 이와 유사한 장애물의 설치가 가능 하며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없어야 한다.
④ 탈의실, 욕실, 욕조 및 샤워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4. 풍속관련법령 등 다른 법령에 의하여 관계행정기관의 장의 요청이 있을 때 공중위생영업자를 처벌할 수 있는 자는?
① 시·도지사
② 시장·군수·구청장
③ 보건복지부장관
④ 행정자치부장관
25. 1차 위반 시의 행정처분이 면허취소가 아닌 것은?
①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이·미용사 자격이 취소된 때
② 이중으로 면허를 취득한 때
③ 면허정저처분을 받고 그 정지 기간 중 업무를 행 한 때
④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이·미용사 자격정지 처분을 받을 때
26. 다음 중 영업소 외에서 이용 또는 미용업무를 할 수 있는 경우는?
ㄱ. 중병에 걸려 영업소에 나올 수 없는 자의 경우 ㄴ. 혼례 기타 의식에 참여하는 자에 대한 경우 ㄷ. 이용장의 감독의 받은 보조원이 업무를 하는 경우 ㄹ. 미용사가 손님 유치를 위하여 통행이 빈번한 장소에서 업무를 하는 경우 |
① ㄷ
② ㄱ, ㄴ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27. 공중위생영업의 승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공중위생영업자가 그 공중위생영업을 양도하거나 사망한 때 또는 법인의 합병이 있는 때에는 그 양수인·상속인 또는 합병 후 존속하는 법인이나 합병에 의하여 설립되는 법인은 그 공중위생 영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
② 이용업 또는 미용업의 경우에는 규정에 의한 면허를 소지한 자에 한하여 공중위생영업자의 지위를 승계할 수 있다.
③ 민사집행법에 의한 경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의한 환가나 국제징수법·관세법 또는 지방세기본법에 의한 압류재산의 매각,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에 따라 공중위생영업 관련시설 및 설비의 전부를 인수한 자는 이 법에 의한 그 공중위생영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
④ 공중위생영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1월 이내에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8. 처분기준이 2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아닌 것은?
① 규정을 위반하여 영업소 이외 장소에서 이·미용 업무를 행한 자
② 위생교육을 받지 아니한 자
③ 위생 관리 의무를 지키지 아니한 자
④ 관계 공무원의 출입·검사·기타 조치를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