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속요 – 가시리

• ‘셜온’의 뜻은 ‘서러운’이며, ‘셜온 님 보내ᄋᆞᆸ노니’는 ‘서러운 님을 보내드린다’로 해석할 수 있다.

• 가시리에서 ‘셜온 님’은 ‘셜온’의 주체를 누구로 보느냐에 다라 ‘(화자와의 이별을) 서러워하는 임’ 또는 ‘(화자를) 서럽게 하는 임’의 두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전자로 해석하는 경우'(화자와의 이별을) 서러워하는 임을 보내드린다’의 의미가 되고, 후자로 해석하는 경우 ‘(화자를) 서럽게 하는 임을 보내드린다’가 된다.

• ‘나ᄂᆞᆫ’은 노랫가락의 운율을 맞추기 위한 여음구로, 특별한 의미가 없다.

• ‘잡ᄉᆞ아 두어리마ᄂᆞᄂᆞᆫ’의 뜻은 ‘(임을) 붙잡아 두고 싶지만’으로, 떠나는 임을 붙잡고 싶은 화자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 ‘—ㄹ셰라’는 ‘—ㄹ세라’의 옛말로, 뒤 절 일의 이유나 근거로 혹시 그러할까 염려하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다. ‘선ᄒᆞ면 아니 올셰라’는 ‘(임이) 서운하면 돌아오지 않을까 두렵다’라는 듯이다. 임을 떠나보낼 수밖에 없는 이유를 드러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 고려속요, 가시리
– 갈래: 고려 속요
– 형식: 전 4연, 각 2구의 분연체(分聯體)
– 율격: 대체로 3·3·2조의 3음보
– 특징: 반복법을 사용하여 이별의 정한을 강조함, 임이 자신에게 돌아와 주기를 소망함,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
– 주제: 이별의 정한과 재회에 대한 소망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