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범죄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이 아닌 것은?
① 갈등론적 관점
② 합의론적 관점
③ 상호작용론적 관점
④ 방위론적 관점

 

 

 

42. 서덜랜드와 크레시(Sutherland &Cressey)가 주장한 범죄학 정의가 아닌 것은?
① 범죄자는 격세유전에 의해 출현한다.
② 범죄를 사회적 현상으로 간주하는 지식체계이다.
③ 범죄학의 연구영역은 법 제정의 과정, 제정된 법의 위반과정, 법 위반행위에 대한 대응과정 등이 포함된다.
④ 법, 범죄, 처우의 과정에 대한 신뢰와 확립이 목적이다.

 

 

 

43. 범죄학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학의 접근방법은 사회학적 관점으로 고착되었다.
② 범죄의 원인은 생물학적 원인만 있다.
③ 다학제(multidisciplinary)적 성격을 갖고 있다.
④ 범죄학 이론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는 모두 동일하다.

 

 

 

44. 공식범죄통계의 단점은?
① 연도별 범죄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② 암수범죄를 파악할 수 없다.
③ 지역별 범죄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④ 범인검거 건수를 파악할 수 있다.

 

 

 

45. 다음에 해당하는 범죄는?

– 은폐된 범죄성이 있다.
– 우발적으로 발생한다.
– 경미한 범행을 반복한다.
– 자신을 잘 아는 사람을 범행대상으로 한다.

① 사이버범죄
② 테러범죄
③ 전쟁범죄
④ 여성범죄

 

 

 

46. 「2022년 범죄백서」에 제시된 강력범죄(폭력) 발생 및 검거 추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검거인원은 매년 감소하였다.
②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검거건수는 매년 증가하였다.
③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발생건수는 매년 증가하였다.
④ 2021년 발생건수, 검거건수, 검거인원은 2020년보다 증가하였다.

 

 

 

47. 범죄통계와 관련하여 인구 10만 명당 범죄발생 건수를 계산한 것은?
① 범죄시계
② 응답률
③ 실시간 집계
④ 범죄율

 

 

 

48. 실험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동일한 실험을 반복할 수 없다.
② 반두라(Bandura)의 보보인형실험이 있다.
③ 연구자가 실험실 환경을 제어할 수 없다.
④ 사회과학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하다.

 

 

 

49. 젠더(gender)폭력이 아닌 것은?
① 성폭력
② 리벤지 포르노
③ 데이트폭력
④ 도박

 

 

 

50. 다음에 해당하는 범죄는?

실제로 범죄가 발생하였으나 수사기관에 인지되지 않아 공식적인 범죄통계에 나타나지 않는 범죄행위의 총체

① 암수범죄
② 인지범죄
③ 계산범죄
④ 수정범죄

 

 

 

51. 사회내 처우가 아닌 것은?
① 징역
② 사회봉사명령
③ 전자감시
④ 치료명령

 

 

 

52. 코헨과 펠슨(Cohen &Felson)의 일상활동이론(routine activities theory)에서 범죄가 발생하기 위한 3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동기화된 범죄자
② 적절한 피해대상
③ 감시기능의 부재
④ 엄격한 처벌

 

 

 

53. 사형존치론자의 주장이 아닌 것은?
① 생명권은 법률로도 제한할 수 없다.
② 극악한 범죄자는 사회에서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③ 법원이 오판(誤判)하는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④ 사형제는 범죄억제 효과가 있다.

 

 

 

54.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기본원리가 아닌 것은?
① 자연적 접근통제
② 자연적 감시
③ 영역성 강화
④ 전환제도(diversion)

 

 

 

55. 다음이 설명하는 소년보호제도의 기본이념은?

– 국가가 부모를 대신해서 소년을 보호해 주어야 한다.
– 국가는 비행청소년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① 실증주의
② 국친사상
③ 자유주의
④ 계몽사상

 

 

 

56. 형벌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구류
② 치료감호
③ 벌금
④ 과료

 

 

 

57. 회복적 사법의 목표가 아닌 것은?
① 피해의 회복
② 피해자와 가해자의 화해
③ 가해자의 신상등록 및 공개
④ 공동체의 강화

 

 

 

58.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은?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상 취업제한은 (     )로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하는 경우에 집행이 종료되거나 유예 · 면제된 날로부터 일정기간 아동 · 청소년 관련 기관에 취업을 제한하는 것이다.

① 성범죄
② 마약범죄
③ 강도범죄
④ 스토킹범죄

 

 

 

59. 상황적 범죄예방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담장을 허문다.
② 경찰의 순찰을 강화한다.
③ CCTV를 추가로 설치한다.
④ 상점창문을 깨지지 않는 유리로 한다.

 

 

 

60. 피해자 없는 범죄(victimless crime)가 아닌 것은?
① 약물남용
② 성매매
③ 배임
④ 도박

 

 

 

61. 중범죄자들은 원시적 신체 특성이 유전된 생래적 범죄인(born criminals)이라고 주장한 초기 실증주의 범죄학자는?
① 롬브로소(Lombroso)
② 모피트(Moffitt)
③ 머튼(Merton)
④ 타르드(Tarde)

 

 

 

62. 생물학적 범죄원인론의 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쥬크(Jukes) 가계 연구
② 범죄다발지역(HotSpot) 연구
③ 쌍생아 연구
④ XYY 염색체의 폭력성 연구

 

 

 

63. 에이커스(Akers)의 차별적 접촉강화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reinforcement theory)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태도를 관찰하고 따라하는 것’은?
① 차별적 접촉
② 차별적 강화
③ 모방
④ 정의

 

 

 

64. 낙인이론의 주요 개념이 아닌 것은?
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② 이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
③ 일차적 일탈(primary deviance)
④ 악의 극화(dramatization of evil)

 

 

 

65. ‘부패한 검찰은 나의 범죄를 비난할 자격이 없다’라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중화기술은?
① 비난자에 대한 비난
② 책임의 부정
③ 가해의 부정
④ 피해자의 부정

 

 

 

66. 애그뉴(Agnew)의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에서 제시한 긴장유발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긍정적으로 평가된 목표 달성의 실패
② 긍정적 자극의 제거
③ 사회 유대의 강화
④ 부정적 자극의 출현

 

 

 

67.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에서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을 모두 수용하는 적응양식은?
① 혁신형(innovation)
② 의례형(ritualism)
③ 도피형(retreatism)
④ 동조형(conformity)

 

 

 

68. 발달이론(developmental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행위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은 연령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② 샘슨과 라웁(Sampson &Laub)의 연령-등급이론이 해당된다.
③ 범죄의 시작만을 설명하고 중단이나 지속은 설명하지 않는다.
④ 종단적 방법보다 횡단적 연구방법이 중요하다.

 

 

 

69. 베카리아(Beccaria)가 주장한 처벌이 범죄행위 통제 가능성을 높이는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처벌의 엄격성
② 처벌의 신속성
③ 처벌의 도덕성
④ 처벌의 확실성

 

 

 

70. 동심원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카고학파에 의해 연구되었다.
② 프로이드(Freud)가 주장하였다.
③ 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전이지대이다.
④ 사회해체이론의 기반이 되었다.

 

 

 

71. 그로스와 번바움(Groth &Birnbaum)이 주장한 다음 강간의 유형은?

– 가해자가 피해여성을 성적으로 소유하고자 한다.
–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이다.

① 분노강간(anger rape)
② 권력강간(power rape)
③ 가학강간(sadistic rape)
④ 약탈적 강간(predatory rape)

 

 

 

72. 폭스와 레빈(Fox &Levin)이 분류한 연쇄살인범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스릴형(thrill motivated)
② 사명형(mission-oriented)
③ 권력지향형(power seeker)
④ 편의형(expedience directed)

 

 

 

73. 절도범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순수한 재산형 범죄이다.
② 폭행 또는 협박을 수단으로 한다.
③ 소유주의 합법적 재산을 불법적으로 취하는 행위이다.
④ 야간에 주거침입절도를 저지르면 더 무거운 처벌을 받는다.

 

 

 

74. 사기범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정행위나 속임수로 타인의 재산을 취득하는 범죄이다.
② 범행수법이 지능적이다.
③ 피해자의 신뢰를 이용한 범죄이다.
④ 사회적 지위가 높은 범죄자에 의해서만 발생한다.

 

 

 

75. 아바딘스키(Abadinsky)가 주장한 조직범죄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정치적 목적이나 이해관계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② 조직활동이나 구성원의 참여가 일시적이다.
③ 이익증대를 위해 폭력을 사용하며, 특정사업의 독점을 추구한다.
④ 전문성과 조직 내 위치와 상관없이 동일한 업무를 수행한다.

 

 

 

76. 마약류와 약리작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코카인 – 각성제(중추신경 자극제)
② 헤로인 – 진통제(중추신경 진정제)
③ LSD – 환각제
④ 메스암페타민 – 안정제(중추신경 억제제)

 

 

 

77. 가정폭력 범죄가 아닌 것은?
① 부모에 의한 아동학대
② 배우자학대
③ 자녀에 의한 부모학대
④ 마약남용

 

 

 

78. 사이버범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발각과 원인규명이 어렵다.
ㄴ. 범행과 피해가 특정지역에 국한된다.
ㄷ.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높다.
ㄹ. 범행이 자동성, 반복성, 연속성이 있다.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79. 범죄유형과 특징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사이버범죄 – 암수범죄의 비율이 낮음
② 증오범죄 – 편견과 증오에 의하여 동기부여
③ 환경범죄 – 원인과 피해발생의 인과관계 입증이 용이
④ 스토킹범죄 – 행위의 지속성, 반복성이 낮음

 

 

 

80. 현행법상 향정신성의약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프로포폴(Propofol)
② 바르비탈(Barbital)
③ 마리화나(Marihuana)
④ 디아제팜(Diazepam)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