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소화약제의 주된 소화효과는?
① 억제
② 희석
③ 제거
④ 질식

 

 

 

2.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외부에서 액화가스탱크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탕크 내부의 액체가 비등하면서 내부 압력의 상승으로 용기가 파열디어 폭발하는 현상

① 증기운폭발(UVCE)
② 폭연(Deflagration)
③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LEVE)
④ 보일오버(Boil-over)

 

 

 

3. 불완전 연소할 때 발생되는 무미ㆍ무취의 가스로서 인체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운반기능을 약화시켜 질식을 유발하는 연소가스는?
① 일산화탄소
② 암모니아
③ 아크로레인
④ 황화수소

 

 

 

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1류 위험물에 관한 저장 및 취급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열, 충격, 마찰 등을 피해야 한다.
② 알칼리금속 과산화물은 물속에 넣어 보관한다.
③ 용기의 파손, 전도를 방지해야 한다.
④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5. 수소의 공기 중 연소범위(Vol %)로 옳은 것은?
① 1 ∼ 13
② 2.1 ∼ 9.5
③ 2.5 ∼ 20
④ 4 ∼ 75

 

 

 

6.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의 성질은?
① 산화성고체
② 가연성고체
③ 인화성액체
④ 산화성액체

 

 

 

7. 전기적 점화원인 정전기의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기 중 상대습도를 30 % 이하로 낮게 한다.
② 접지시설을 한다.
③ 공기를 이온화시킨다.
④ 전기전도성이 큰 물체를 사용한다.

 

 

 

8. 물소화약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하기 쉽고 경제적이다.
② 변질의 우려가 적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③ 냉각효과가 우수하다.
④ 칼륨, 나트륨과 같은 가연성 금속의 화재에 사용한다.

 

 

 

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제2류 위험물의 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황화린 – 100킬로그램
② 적린 – 100킬로그램
③ 유황 – 500킬로그램
④ 철분 – 500킬로그램

 

 

 

10. 스테판 – 볼츠만의 법칙과 가장 관련이 있는 열전달 방법은?
① 전도
② 복사
③ 대류
④ 발화

 

 

 

11. 건축물의 화재성장 과정 중 플래쉬오버를 지나 모든 가연물의 연소가 최대로 확대되는 단계는?
① 초기
② 성장기
③ 최성기
④ 감쇠기

 

 

 

1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등의 자체점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체점검은 작동기능점검과 종합정밀점검으로 구분한다.
② 작동기능점검은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ㆍ소방안전관리자 또는 소방시설관리업자가 점검할 수 있다.
③ 작동기능점검은 2년마다 1회 실시한다.
④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은 종합정밀점검 대상이다.

 

 

 

13. 연돌효과(Stack Effect)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건축물의 높이
② 건축물의 내ㆍ외부 온도
③ 건축물 외벽의 기밀도
④ 건축물의 바닥면적 및 마감재

 

 

 

14.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피난안전구역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부마감재료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② 건축물의 내부에서 피난안전구역으로 통하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설치할 것
③ 비상용 승강기는 피난안전구역에서 승하차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④ 관리사무소 또는 방재센터 등과 긴급연락이 가능한 경보 및 통신시설을 설치할 것

 

 

 

1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자위소방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 발생 시 비상연락, 초기소화 및 피난유도를 위해 자위소방대를 편성할 수 있다.
② 화재 발생 시 인명ㆍ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한 조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위소방대를 편성할 수 있다.
③ 해당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근무하는 사람의 근무위치, 근무인원 등을 고려하여 편성하여야 한다.
④ 시ㆍ도지사는 자위소방대의 구성, 운영 및 교육, 초기대응체계의 편성ㆍ운영 등에 필요한 지침을 작성하여 배포하여야 한다.

 

 

 

16.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기 중에서 쉽게 연소, 폭발한다.
② 기화 시 공기보다 가벼워 누출되면 천장에 체류한다.
③ 순수한 LPG는 색깔이 없고, 냄새도 없다.
④ 액화 시 체적이 축소되므로 보관 및 수송이 용이하다.

 

 

 

17. 건축물의 화재하중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가연물의 중량
② 피로하중
③ 화재실의 바닥면적
④ 가연물 단위중량 당 발열량

 

 

 

18. 소방기본법상 국민의 안전의식과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정한 소방의 날은?
① 매년 1월 19일
② 매년 9월 11일
③ 매년 11월 9일
④ 매년 12월 12일

 

 

 

19. 건축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난연재료”란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말한다.
② “준불연재료”란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말한다.
③ “불연재료”란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말한다.
④ “방화구조”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를 말한다.

 

 

 

2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높이 기준은?
① 2.5미터 이하
② 2.7미터 이하
③ 3.0미터 이하
④ 3.5미터 이하

 

 

 

2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상 연기감지기 설치 기준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또는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 ㄱ )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 ㄴ)가(이)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할 것

① ㄱ: 창문, ㄴ: 벽
② ㄱ: 배기구, ㄴ: 공기 유입구
③ ㄱ: 출입구, ㄴ: 배기구
④ ㄱ: 벽, ㄴ: 창문

 

 

 

22. 누전경보기에서 누설전류를 검출하여 수신기로 신호를 전달하는 기기는?
① 정온식 열감지기
② 영상변류기(ZCT)
③ 광전식 연기감지기
④ 누설동축케이블

 

 

 

23. 가스누설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NFSC)상 가연성가스 경보기 중 단독형 경보기의 가스누설 음향장치는 수신부로부터 1 m 떨어진 위치에서 몇 데시벨(dB) 이상의 음압이어야 하는가?
① 40
② 50
③ 60
④ 70

 

 

 

2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피난기구는?

사용자가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

① 간이완강기
② 완강기
③ 피난사다리
④ 승강식피난기

 

 

 

25. 다음 중 연기감지기에 해당하는 것은?
① 광전식 감지기
② 차동식 감지기
③ 정온식 감지기
④ 열전대식 감지기

 

 

 

26.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면 색상으로 옳은 것은?
① 백색바탕에 흑색문자
② 흑색바탕에 백색문자
③ 녹색바탕에 백색문자
④ 백색바탕에 녹색문자

 

 

 

27.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상 복도통로유도등의 설치 높이는?
① 바닥으로부터 1 m 초과
② 바닥으로부터 1 m 이하
③ 바닥으로부터 1.5 m 초과
④ 바닥으로부터 1.5 m 이하

 

 

 

28.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화재 피난 시 인간의 행동특성은?

화재 피난 시 원래 왔던 길 또는 늘 사용하였던 익숙한 경로로 대피하고자 하는 본능적 행동

① 좌회본능
② 추종본능
③ 귀소본능
④ 지광본능

 

 

 

29. 습식스프링클러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평상시 배관 내에 물이 차 있다.
② 겨울철 추운 날씨에 동결 우려가 있다.
③ 열에 의해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 동작한다.
④ 변전실 등 전기설비가 많은 곳에 주로 사용한다.

 

 

 

3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방식은?

고정식 이산화탄소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설비로 화재발생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

① 국소방출방식
② 전역방출방식
③ 호스릴방식
④ 교차회로방식

 

 

 

31. 소방기본법령상 다음에 해당하는 소방신호는?

– 타종신호: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 사이렌신호: 1분간 1회

① 경계신호
② 발화신호
③ 해제신호
④ 훈련신호

 

 

 

32. ABC급 화재에 모두 적응성이 있는 분말소화약제는?
① 제1종
② 제2종
③ 제3종
④ 제4종

 

 

 

3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 진화 후 잔존물이 적다.
② 전기절연성이 적어 전기화재에 적응성이 없다.
③ 주된 소화효과는 질식소화이다.
④ 증거보존이 양호하여 화재원인 조사가 쉽다.

 

 

 

34.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적응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기화재에 사용한다.
② 금속물질(Na, K, Al, Mg 등)화재에 사용한다.
③ 유류화재에 사용한다.
④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에 사용한다.

 

 

 

35.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상 하나의 제연구역 면적기준은?
① 1,000 m2 이내
② 2,000 m2 이내
③ 3,000 m2 이내
④ 5,000 m2 이내

 

 

 

36. 불활성기체소화약제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불활성기체소화약제”란 헬륨, 네온, 아르곤 도는 (          )가스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소화약제를 말한다.

① 질소
② 염소
③ 브롬
④ 요오드

 

 

 

37. 소방기본법상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지역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시장지역
ㄴ. 공장·창고가 밀집한 지역
ㄷ.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3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6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① 과염소산
② 나트륨
③ 질산
④ 과산화수소

 

 

 

39. 소방기본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특수가연물의 품명과 수량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면화류 – 200킬로그램 이상
② 나무껍질 및 대팻밥 – 400킬로그램 이상
③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 1,000킬로그램 이상
④ 가연성고체류 – 1,000킬로그램 이상

 

 

 

40. 소화기의 적응 화재별 표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류화재는 ‘O’로 표시한다.
② 전기화재는 ‘C’로 표시한다.
③ 일반화재는 ‘A’로 표시한다.
④ 주방화재는 ‘K’로 표시한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