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치안전망 2022」연령대별 피싱사기 피해 발생 건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2017년 대비 2020년 20대 이하 피싱사기 피해 발생 건수가 낮아졌다.
② 2017년 대비 2020년 30대 피싱사기 피해 발생 건수가 높아졌다.
③ 2018년 이전은 40대, 2019년 이후는 50대에서 가장 많은 피싱사기 피해가 발생하였다.
④ 60대 이상의 고령자 피싱사기 피해가 가장 심각하다.

 

 

 

42. 「2021 범죄분석」주요 범죄군별 고령자범죄의 발생비 추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교통범죄 발생비는 매년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② 재산범죄 발생비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증가하였다.
③ 강력범죄(폭력) 발생비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증가하였다.
④ 강력범죄(흉악) 발생비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증가하였다.

 

 

 

43. 다음 ( )에 들어갈 숫자는?

① ㄱ: 1만, ㄴ: 100
② ㄱ: 1만, ㄴ: 1,000
③ ㄱ: 10만, ㄴ: 100
④ ㄱ: 10만, ㄴ: 1,000

 

 

 

44. 연령과 범죄와의 관계를 연구한 학자를 모두 고른 것은?

ㄱ. 폴락(Pollak)
ㄴ. 로우와 티틀(Rowe and Tittle)
ㄷ. 애그뉴(Agnew)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45. 서덜랜드와 크레시(Sutherland and Cressey)가 정의한 범죄학 연구범위가 아닌 것은?
① 범죄량과 분포   
② 법의 제정과정
③ 법의 위반과정
④ 법위반에 대한 대응과정

 

 

 

46. 고전적 실험설계의 기본조건이 아닌 것은?
① 실험변수의 조작
② 외생변수의 통제
③ 실험대상의 무작위화
④ 양적자료 수집 중심

 

 

 

47. 우리나라의 일반적 범죄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폭력범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저지른다.
② 폭력범죄 발생건수는 대도시가 농어촌보다 많다.
③ 청년기에는 지능범죄율이, 노년기에는 폭력범죄율이 높다.
④ 사이버범죄는 감소추세에 있다.

 

 

 

48. 범죄학의 학문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현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② 인접학문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범죄원인을 분석한다.
③ 범죄행위를 연구하는 과학적 접근법이다.
④ 비행과 범죄에 대한 지식의 총체이다.

 

 

 

49. A는 편의점 절도범들의 행동특성을 직접 관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A가 수행한 연구방법은?
① 패널연구
② 코호트연구
③ 현장조사연구
④ 자기보고식연구

 

 

 

50. 여성범죄자에 대한 형사사법기관의 관대한 처벌이 이루어진다는 주장은?
① 남성성 가설
② 기사도 가설
③ 신여성범죄자 가설
④ 성숙효과 가설

 

 

 

51. 메스너와 로젠펠드(Messner and Rosenfeld)의 제도적 아노미 이론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정치제도
② 교육제도
③ 과학제도
④ 가족제도

 

 

 

52. 사회해체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과 관련이 없는 학자는?
① 맥케이(McKay)
② 샘슨(Sampson)
③ 쇼(Shaw)
④ 프로이드(Freud)

 

 

 

53. 범죄학 이론 통합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허쉬(Hirschi)는 이론 통합에 반대하였다.
② 개별 이론의 낮은 설명력에서 비롯되었다.
③ 통합을 통해 이론 수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④ 통합은 중화이론(neutralization theory)을 통해 가장 많이 시도되었다.

 

 

 

54. 지능과 범죄와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든(Gordon)은 지능이 높을수록 소년의 비행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보았다.
② 허쉬와 힌델랑(Hirschi and Hindelang)은 지능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이 간접적이지 않고 직접적이라고 보았다.
③ 헌스타인과 머레이(Herrnstein and Murray)는 지능이 낮은 사람이 비행을 더 많이 한다고 보았다.
④ 고다드(Goddard)는 정신박약이 청소년 비행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다.

 

 

 

55. 헤이건(Hagan)의 권력통제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여성주의 범죄학을 통제이론과 결합하였다.
② 가정 및 직장 내 권력 불평등에 관심을 가졌다.
③ 성별 권력관계에 따라 자녀 양육방식이 달라진다.
④ 가부장적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은 평등적 분위기에서 자란 여성에 비해 더 많은 비행에 가담한다.

 

 

 

56. 쉘던(Sheldon)의 체형이론상 신체적 특질과 기질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신체적 특질 기질
ㄱ. 외배엽
ㄴ. 내배엽
ㄷ. 중배엽
1. 신체긴장형
2. 내장긴장형
3. 두뇌긴장형

① ㄱ – 1, ㄴ – 2
② ㄱ – 3, ㄴ – 2
③ ㄴ – 1, ㄷ – 2
④ ㄴ – 3, ㄷ – 2

 

 

 

57. 발달이론(developmental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범죄행위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이 연령에 따라 다르다.
② 경력범죄자(career criminal)와 범죄경력(criminal career)의 개념은 서로 다르다.
③ 범죄경력에 대한 대논쟁으로 발달론적 관점이 주목받게 되었다.
④ 종단적 방법보다 횡단적 방법이 더 중요하다.

 

 

 

58. 낙인이론(labeling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② 탄넨바움(Tannenbaum)은 악의 극화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③ 레머트(Lemert)는 1차ㆍ2차ㆍ3차적 일탈을 구분한다.
④ 낙인과정에서 사회적 반응이 중요하다.

 

 

 

59. 고전주의 범죄학자는?
① 베카리아(Beccaria)
② 에이커스(Akers)
③ 머튼(Merton)    
④ 브레이스웨이트(Braithwaite)

 

 

 

60. 샘슨과 라웁(Sampson and Laub)의 연령 – 등급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글룩(Glueck) 부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② 안정화(stability)는 무시하고 변화(change)에만 관심을 가졌다.
③ 아동기 반사회적 행위는 성인기 범죄행위 예측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④ 결혼, 취업 등은 성인기 행동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61. 화이트칼라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주로 전문적 지식이나 직업적 지식을 활용하여 범죄를 저지른다.
② 피해자가 특정되어 피해자의 피해의식이 명확하다.
③ 범죄자의 죄의식이 결여되는 경우가 많다.
④ 높은 지위에 있던 인물들의 비리행위는 사회를 불신하게 만든다.

 

 

 

62.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한 마약류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내성
② 의존성
③ 금단현상
④ 개인 한정적 유해성

 

 

 

63. 아바딘스키(Abadinsky)가 주장한 조직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이념성
② 계층성
③ 영속성
④ 전문성

 

 

 

64. 서덜랜드(Sutherland)의 차별접촉이론에서 차별적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빈도(frequency)
② 기간(duration)
③ 강도(intensity)
④ 혁신(innovation)

 

 

 

65. 속칭 ‘물뽕’으로 불리며 ‘데이트 강간 약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① GHB
② LSD
③ Heroin
④ YABA

 

 

 

66. 허쉬(Hirschi)가 주장한 사회유대이론의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애착(attachment)
② 의례(ritualism)
③ 참여(involvement)
④ 신념(belief)

 

 

 

67. 재산범죄와 폭력범죄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범죄유형은?
① 사기
② 횡령
③ 강도
④ 절도

 

 

 

68. 다음에 해당하는 아동학대 유형은?

아이의 자존심이나 욕구 등을 무시하여 굴욕감, 수치심, 분노, 애정결핍 등의 감정을 갖게 하는 행위

① 신체적 학대
② 정서적 학대
③ 성적 학대
④ 방임

 

 

 

69. 그로스와 번바움(Groth and Birnbaum)이 분류한 강간범죄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지배 강간
② 분노 강간
③ 가학성 강간
④ 스릴추구형 강간

 

 

 

70. 폭스와 레빈(Fox and Levin)이 분류한 대량살인범의 유형이 아닌 것은?
① 복수형 살인자(revenge killers)
② 사랑형 살인자(love killers)
③ 이익형 살인자(profit killers)
④ 편의형 살인자(expedience killers)

 

 

 

71. 소년법상 소년보호처분이 아닌 것은?
① 사회봉사명령
② 약물치료명령
③ 보호관찰
④ 수강명령

 

 

 

72. 전환제도(diversion)의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형사사법망이 확대되어 사회적 통제가 강화된다.
② 형벌의 고통을 감소시켜 재범위험성이 증가된다.
③ 범죄자의 경제적 사정이 고려될 수 있어 형사사법의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
④ 범죄자로 낙인찍을 가능성을 줄인다.

 

 

 

73. 벌금형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① 자유형에 비하여 교화ㆍ개선 효과가 미흡하다.
② 단기자유형의 폐해를 제거한다.
③ 오판의 경우 그 회복이 가능하다.
④ 법인에 대한 집행이 가능하다.

 

 

 

74. 범죄피해자보호법상 범죄피해자의 법적 권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변보호를 받을 권리
② 형사절차에 참여할 권리
③ 수사과정의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④ 가해자와 화해할 권리

 

 

 

75. 다음에서 설명하는 보안처분은?

심신장애 상태, 마약류·알코올이나 그 밖의 약물 중독 상태, 정신성적 장애가 있는 상태 등에서 범죄행위를 한 자로서 재범위험성이 있고 특수한 교육·개선 및 치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에 대하여 적절한 보호와 치료를 함으로써 재범을 방지하고 사회복귀를 촉진하는 제도

① 보호관찰제도
② 치료보호제도
③ 치료감호제도
④ 보안관찰제도

 

 

 

76. 범죄피해자보호법상 구조대상이 되는 범죄는?
① 살인
② 직권남용
③ 배임
④ 해킹

 

 

 

77. 수형자 구금제도 중 혼거제의 장점은?
① 범죄악풍의 감염가능성이 있다.
② 수형자의 사회성 훈련에 용이하다.
③ 개별처우가 곤란하다.
④ 수형자간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

 

 

 

78. 셉테드(CPTED)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이웃감시
ㄴ. 재물등록
ㄷ. 규칙제정
ㄹ. 접근통제
ㅁ. 자연적 감시
ㅂ. 영역성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ㄹ
③ ㄴ, ㄹ, ㅁ
④ ㄹ, ㅁ, ㅂ

 

 

 

79.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진행 중인 스토킹행위에 대하여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한 사법경찰관리가 취할 수 있는 응급조치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토킹행위의 제지
② 스토킹행위자와 피해자 등의 분리
③ 범죄수사
④ 국가경찰관서의 유치장 또는 구치소에의 유치

 

 

 

80. 깨진창이론(broken window theory)에 근거한 경찰활동은?
① 경미범죄의 단속
② 안보사범 정보수집
③ 살인범죄 수사
④ 대형참사범죄 수사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