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계적 열에너지(mechanical heat energy)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마찰열(frictional heat)
② 압축열(heat of compression)
③ 마찰스파크열(frictional spark heat)
④ 연소열(heat of combustion)
2. 열전달의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전도
② 대류
③ 환원
④ 복사
3. 연료가스와 공기가 혼합하면서 연소하는 형태는?
① 예혼합연소
② 확산연소
③ 표면연소
④ 자기연소
4.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② 습도를 높게 유지한다.
③ 저장실은 통풍이 잘 되게 한다.
④ 저장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5. 연소점의 정의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가연물에 점화원을 가했을 때 발화될 수 있는 최저온도
② 가연물이 점화원 없이 가열된 열만 가지고 스스로 발화될 수 있는 최저온도
③ 가연물에 점화원을 제거한 후에도 계속적인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온도
④ 액체가연물의 연소범위 하한계 농도를 증발시킬 수 있는 최저온도
6. 공기 중의 산소농도 21%를 15%이하의 농도로 낮추어 소화하는 원리는?
① 냉각소화
② 질식소화
③ 제거소화
④ 부촉매소화
7. Halon 1301 소화약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물질은?
① 탄소
② 염소
③ 불소
④ 브롬
8. 물은 다른 물질에 비해 잠열이 커서 소화약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 중 잠열(latent hea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물질 1g을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② 연소가 가능한 가연물의 공기에 대한 체적농도
③ 온도의 변화가 없으면서 물질의 상(像) 변화에 필요한 열량
④ 액체의 표면으로부터 증발이 일어나는 온도
9. 청정소화약제와 관련된 약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ODP – 오존층파괴지수
② GWP – 지구온난화지수
③ LOAEL – 독성인정최저농도
④ NOAEL – 대기권잔존년수
10.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정도의 성능을 가진 구조는?
① 방화구조
② 방진구조
③ 절연구조
④ 피난구조
11. 피난 시 인간은 평소에 사용하는 문, 길, 통로를 사용한다든가, 자신이 왔었던 길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무슨 본능이라 하는가?
① 퇴피본능
② 지광본능
③ 귀소본능
④ 추종본능
12. fail safe원칙에 따른 피난계획에 해당되는 것은?
① 피난방향으로 문을 열 수 있도록 한다.
② 피난기구 사용방법에 그림을 그려 넣는다.
③ 문손잡이를 회전식보다는 레버식으로 한다.
④ 피난로를 2방향 이상으로 한다.
13. 건축물의 방재계획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공간적인 대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추종성
② 대항성
③ 회피성
④ 도피성
14.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로 프로판이나 부탄으로 구성된다.
② 연소 시 발열량이 액화천연가스(LNG)보다 약 2배 정도 크다.
③ 기체상태에서는 공기보다 가볍다.
④ 사고로 누출되면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급격히 기화한다.
15. 제연설비, 연결살수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는 다음 중 어느 설비에 해당되는가?
① 소화용수설비
② 소화활동설비
③ 경보설비
④ 피난설비
16. 본체용기 중에 소화약제와 함께 소화약제의 방출원이 되는 압축가스(질소 등)를 봉입한 방식의 수동식 소화기구는?
① 자동식소화기
② 가압식소화기
③ 자동확산소화용구
④ 축압식소화기
17. 옥내소화전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배관
② 헤드
③ 방수구
④ 가압송수장치
18.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원은 그 저수량이 옥내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5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5개)에 몇 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정하고 있는가?
① 1.2
② 1.6
③ 2.6
④ 3.6
19.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순서대로 (ㄱ), (ㄴ))
스프링클러소화설비에서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은 ( ㄱ ) MPa의 방수압력 기준으로 ( ㄴ )ℓ/min 이상의 방수성능을 가진 기준개수의 모든 헤드로부터의 방수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① 0.1 , 80
② 0.1 , 130
③ 0.17 , 80
④ 0.17 , 130
20. 무창층이나 지하층에 설치할 경우, 소화약제에 의한 질식사고 우려가 있어 배출설비가 필요한 것은?
① 스프링클러소화설비
② 옥내소화전설비
③ 물분무소화설비
④ 이산화탄소소화설비
21. 연결송수관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 옥외의 송수구를 통해 소방차로 송수를 하여 헤드로 물을 살수하는 소화설비이다.
② 송수구는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송수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④ 송수구의 구경은 65mm의 쌍구형으로 하여야 한다.
22. 경보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간이스프링클러설비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자동화재속보설비
④ 비상방송설비
2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감지기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이다.
② 시각경보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점멸형태의 시각경보를 하는 장치이다.
③ 발신기는 감지기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이다.
④ 수신기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장치이다.
24. 열감지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차동식감지기
② 정온식감지기
③ 보상식감지기
④ 광전식감지기
25.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변류기
② 수신부
③ 음향장치
④ 비상조명등
26. 비상경보설비의 지구음향장치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당해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몇 m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① 25
② 60
③ 75
④ 100
27. 실내에 설치하는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비상방송설비 설치기준에서 몇 W이상으로 정하고 있는가?
① 1
② 2
③ 4
④ 6
28. 국외에서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로서 재외국민의 보호나 국제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국제구조대의 편성ㆍ운영권자는?
① 외교통상부장관
② 행정안전부장관
③ 소방방재청장
④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29.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로 속도조절기, 속도조절기의 연결부, 로우프, 벨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① 구조대
② 완강기
③ 피난사다리
④ 미끄럼대
30. 유도등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에는 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할 것
② 복도통로유도등은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 마다 설치할 것
③ 유도등의 비상전원은 축전지로 할 것
④ 피난구유도등은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1m 이하의 곳에 설치할 것
31. 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유도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객석유도등
② 복도통로유도등
③ 거실통로유도등
④ 계단통로유도등
32. 인명구조기구의 설치기준에서 방열복ㆍ공기호흡기(보조마스크 포함) 및 인공소생기는 각 몇 개 이상 비치하도록 정하고 있는가?
① 2
② 4
③ 6
④ 8
33. 소방기본법령상 국고보조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소방관서용 청사
② 소방헬리콥터 및 소방정
③ 의용소방대원의 인건비
④ 소방전용통신설비 및 전산설비
34. 소방기본법에서 정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와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관계지역”이라 함은 소방대상물이 있는 장소 및 그 이웃지역으로서 화재의 예방ㆍ경계ㆍ진압, 구조ㆍ구급 등의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② “소유권자”라 함은 소방대상물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점유자를 말한다.
③ “소방대장(消防隊長)”이라 함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등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대를 지휘하는 자를 말한다.
④ “소방본부장”이라 함은 특별시ㆍ광역시 또는 도에서 화재의 예방ㆍ경계ㆍ진압ㆍ조사 및 구조ㆍ구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장을 말한다.
35. 피난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구조대, 피난사다리
② 구조대, 공기안전매트
③ 유압식 절단기, 피난구유도등
④ 피난교, 피난밧줄
36. 화재경계지구의 지정권자는?
① 대통령
② 행정안전부장관
③ 소방방재청장
④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37.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 제조소등이란?
① 관리소, 제조소, 취급소
② 제조소, 저장소, 관리소
③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
④ 저장소, 취급소, 관리소
38. 위험물의 저장ㆍ운반 및 취급에 대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
① 선박
② 화물자동차
③ 항공기
④ 철도 및 궤도
39.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내용은? (순서대로 ( ㄱ ), ( ㄴ ))
위험물이라 함은 ( ㄱ ) 또는 ( ㄴ )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
① 인화성, 발화성
② 발화성, 착화성
③ 인화성, 폭발성
④ 착화성, 인화성
40.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은 몇 류 위험물에 해당되는가?
① 제1류
② 제2류
③ 제3류
④ 제4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