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① 범죄예방
② 질서유지
③ 법집행
④ 재산보호
42. 미국에서 금괴수송을 위한 철도경비가 강화되어 민간경비가 획기적으로 발달되었던 시대는?
① 노동자운동시대
② 제1차 세계대전시대
③ 서부개척시대
④ 제2차 세계대전시대
43. 계약경비와 비교하여 자체경비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결원의 보충 및 추가인력의 배치가 용이하다.
② 고용주에게 충성심이 높다.
③ 이직률이 낮은 편이다.
④ 고용주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44. 청원경찰과 경비원의 운용실태의 차이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청원경찰은 기관장이나 시설주의 요구에 의해 국가중요시설에서 활동하고, 경비원은 고객의 요구에 의해 사적인 분야에서 주로 활동한다.
② 청원경찰의 임용 및 감독은 관할경찰서장이 하고, 경비원의 임용 및 감독은 경비업자만이 할 수 있다.
③ 청원경찰의 배치는 청원주가 관할지방경찰청장에게 신청하며, 경비원의 배치는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경찰관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④ 청원경찰은 근무지역 내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상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지만, 경비원은 사인의 자격으로 경비시설 내에서 직무를 수행한다.
45. 미국 민간경비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세기 중엽 위조화폐나 각종 범죄에 대처할 수 있는 사설탐정기관 등이 발전되었다.
② 19세기 말엽 노동자들의 격렬한 사회운동은 민간경비를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③ 20세기 중엽 은행보호법이 제정됨으로써 기계경비가 발전되었다.
④ 18세기 헨리 필딩(Henry Fielding)에 의해 결성된 보우가의 주자(The Bow Street Runners)는 대표적인 사설경비업체이다.
46. 일본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비지도원은 경비구역에 한해서 수색이나 무기의 사용 등 경찰사법권을 가진다.
② 경비원은 심문, 수색, 범죄의 예방과 제지를 할 수 있다.
③ 경비원은 범죄의 수사를 할 수 있다.
④ 경비원은 정당방위, 긴급피난, 자구행위, 현행범 체포 등을 할 수 있다.
47. 민간경비산업 성장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익집단이론 – 그냥 내버려두면 보호받지 못한 채로 방치될 재산을 민간경비가 보호한다.
② 경제환원이론 – 경제의 활성화로 고용기회가 창출되어 민간경비가 성장하게 된다.
③ 공동화이론 – 공경비가 대응하기 어려운 범죄의 사각지대를 민간경비가 메워준다.
④ 수익자부담이론 – 범죄로 인한 신체적 피해의 보호는 개인적 비용 부담에 의해 민간경비가 담당한다.
48. 현대 민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현대 민간경비는 주로 사회지배계층의 이익보호를 위해서 존재하고 있다.
②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민간경비가 하나의 산업형태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③ 민간경비의 주요 대상은 민간시설에 국한되며 공공시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④ 미국의 9.11테러와 같은 국가적 위기상황은 민간경비의 중요한 발전 계기가 된다.
49. 민간경비의 법적 근거 및 규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은 자신의 신체와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민간경비원을 고용할 수 있다.
② 민간경비의 규제와 관련하여 일본에서는 신고제를 취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허가제를 취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규제가 보다 엄격하다.
③ 모든 민간경비원을 전형적인 공무수탁사인(公務受託私人)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경비업법상의 특수경비원의 직무는 공무수탁사인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④ 민간경비의 활동영역은 경비업법 외에도 청원경찰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등과도 관련된다.
50. 민간경비의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서구에서는 민간경비를 논의할 때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계약경비뿐만 아니라 자체경비도 포함시키는 경향이 있다.
② 민간경비산업을 계약경비산업으로 한정하면 자체경비는 이러한 민간경비산업에서 제외된다.
③ 실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민간경비는 개념적으로 실질적인 의미의 민간경비에 해당된다.
④ 민간경비는 주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는 특정고객을 대상으로 한다.
51. 기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기적으로 볼 때 운영 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어려우며 현장에 출동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③ 화재예방과 같은 다른 예방시스템과 통합적 운용이 가능하다.
④ 과학기술의 발달로 그동안 문제시되었던 오경보 문제는 대부분 해결되었다.
52. 경비원의 신임교육과 직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현장 중심의 실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② 경비원의 신임교육은 경비원 본인의 비용 부담으로 실시한다.
③ 신임교육은 경찰청장이 지정한 교육기관 및 단체에서 실시한다.
④ 직무교육은 당해 경비업자가 실시한다.
53. 경비조직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고관리자가 중간관리자에게 경비업무를 위임하면 책임 또한 위임되어야 한다.
② 최고관리자는 중간관리자에게 책임의 범위 내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부여하여야 한다.
③ 통솔범위란 한 사람의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대한의 부하의 수를 말한다.
④ 경비인력 수요는 일반적으로 해당 경비시설물의 규모에 반비례한다.
54. 경비위해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비위해요소의 분석시 모든 시설물에 있어서 표준화된 시스템을 적용한다.
② 각종 사고로부터 최적의 안전확보를 위해서는 경비위해요소의 인지와 평가가 중요하다.
③ 경비위해요소의 분석결과에 따라 장비와 인원 등의 투입이 결정된다.
④ 많은 손실이 예상되는 경비대상에는 종합경비시스템이 설치되도록 해야 한다.
55. 경비원의 교육훈련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비원의 교육훈련은 효율적인 경비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② 경비업자는 경비원에 대한 직무교육을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시간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③ 경비원 교육은 경비원으로서 지녀야 할 태도와 실질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④ 경비원 교육을 받은 후 5년 이상의 기간 동안 경비업무에 종사하지 아니하다가 일반경비원으로 채용된 사람은 신임교육을 받지 않아도 된다.
56. 일본 민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세기 후반부터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인해 범죄환경이 악화되어 현대적인 민간경비가 발전되는 계기가 되었다.
② 1964년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민간경비가 발전되었다.
③ 제2차 세계대전 후 전문적인 민간경비업체가 출현하였다.
④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민간경비가 하나의 경비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57. 청원경찰법과 경비업법을 이원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청원경찰은 경찰공무원도 경비원도 아닌 이중적인 법적 지위 때문에 업무수행에 있어서 혼란 등을 겪을 수 있다.
② 청원경찰과 민간경비원은 보수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여 청원주가 청원경찰의 배치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③ 청원경찰의 감독, 임용 및 해임 등의 권한이 민간경비업자에게 위임되고 있다.
④ 민간경비원은 청원경찰보다 직업안전성이 낮고 이직률이 높은 편이다.
58. 우리나라의 민간경비와 경찰의 관계 개선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민간경비와 경찰의 관계는 상하ㆍ수직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② 민간경비와 경찰간에 관련 정보를 적극적으로 교환하여야 한다.
③ 민간경비업체와 경찰책임자의 정기적인 회의를 개최하도록 한다.
④ 사건 발생시 민간경비와 경찰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호역할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
59. 민간경비산업의 전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향후 기계경비업보다 인력경비업의 성장속도가 빠를 것이다.
② 경찰 및 교정 업무의 민영화 추세는 민간경비업 성장의 한 요인이 될 것이다.
③ 경비 수요에 맞는 민간경비 상품의 개발이 요구될 것이다.
④ 민간경비업의 홍보활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될 것이다.
60. 산업스파이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피해액이 막대한 수준에 이를 수 있다.
② 대부분은 외부인이 물리적으로 침입하여 기업비밀을 절취해 가는 경우이다.
③ 화이트 칼라(white color) 범죄의 유형으로서 적발이 어려운 편이다.
④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유출을 시도할 경우 방지하기 어려운 편이다.
61. CCTV의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CCTV의 사용으로 인하여 범죄자의 범법행위가 다른 장소, 대상으로 이동될 가능성은 없다.
② CCTV를 통하여 범죄를 범할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다.
③ 녹화된 CCTV의 자료는 증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④ CCTV는 경비원을 대체할 수 있다.
62. 화재 유형에 따른 종류 표시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유류화재 – A급
② 일반화재 – B급
③ 전기화재 – C급
④ 가스화재 – D급
63. 보안조명 설치의 일반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보안조명은 경계구역의 안과 밖을 비출 수 있도록 적당한 밝기와 높이로 설치한다.
② 경계대상물이 경계선에서 가깝거나 건물자체가 경계선의 일부분일 경우에는 외부 조명은 건물에 간접적으로 비추도록 해야 한다.
③ 조명시설의 위치가 경비원의 시야를 방해해서는 안 되며, 가능한 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④ 보안조명은 위험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직접적으로 비춰야 하며,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이 유지되어야 한다.
64. 안전유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안전유리는 외부충격에는 강하지만 화재에는 취약하다.
② 안전유리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③ 안전유리는 일반유리에 비해 매우 두꺼워 설치가 어려운 점이 있다.
④ 안전유리는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침입시간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65. 화재발생 초기단계에서 연기와 불꽃이 보이지 않고, 감지할 수 있는 열도 나타나지 않는 상태에서 미세한 연소물질이 노출되었을 때 작동하는 감지기는?
① 광전자감지기
② 적외선감지기
③ 이온감지기
④ 열감지기
66. 무차별적으로 문화재 및 타인의 물건ㆍ시설물 등을 파괴하는 반사회적인 형태의 유형은?
① 해킹(Hacking)
② 반달리즘(Vandalism)
③ 사이코패스(Psychopath)
④ 훌리거니즘(Hooliganism)
67. 원거리에 길고 수평하게 넓은 폭의 빛을 비추고, 특히 눈부심이 없기 때문에 경계지역의 조명에 주로 사용되는 조명장비는?
① 프레이넬등
② 투광조명등
③ 가로등
④ 탐조등
68. 민간경비활동의 기본전략인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차적 기본전략은 자연적 접근통제, 자연적 감시, 영역성의 강화라 할 수 있다.
② CPTED는 개인의 본래 활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범죄예방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③ CPTED는 모든 인간이 잠재적 범죄욕망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사전에 범행기회를 차단한다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④ CPTED의 2차적 기본전략으로서 조직적ㆍ기계적 접근방법은 고려되지 않는다.
69. 정보의 악의적인 흐름이나 침투 등을 방지하고, 비인가자나 불법침입자로 인한 정보의 손실ㆍ변조ㆍ파괴 등의 피해를 보호하거나 최소화시키는 총체적인 안전장치는?
① 물리적 통제
② 방화벽
③ 포트(Port)
④ 멀 웨어(Malware)
70. 컴퓨터 범죄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범행 고의 입증의 곤란성
② 범행의 적발 및 원인 규명의 곤란성
③ 범행의 자동성 및 광범위성
④ 범행의 비연속성
71. 정보 보호의 3요소가 아닌 것은?
① 비밀성(Confidentiality)
② 형평성(Equity)
③ 무결성(Integrity)
④ 가용성(Availability)
72. 컴퓨터의 고장을 수리하는 것처럼 하면서 그 안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를 부정조작하거나 입수하는 컴퓨터 범죄의 수법은?
① 운영자 가장수법(Superzapping)
② 함정문수법(Trap Doors)
③ 논리폭탄수법(Logic Bombs)
④ 부분잠식수법(Salami Techniques)
73. 컴퓨터실의 안전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에 대비하여 소화장비인 자동살수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② 권한 없는 자가 출입하는 것을 통제해야 한다.
③ 컴퓨터실의 내부에는 화재방지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④ 갑작스런 정전에 대비하여 무정전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74. 국가중요시설의 통합방위사태로서 ‘적의 침투ㆍ도발이 예상되거나 소규모의 적이 침투한 때에 지방경찰청장의 지휘ㆍ통제하에 통합방위작전을 수행하여 단기간 내에 치안이 회복될 수 있는 사태’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① 갑종사태
② 을종사태
③ 병종사태
④ 정종사태
75.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유무를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는?
① 패스워드
② 키워드
③ 액세스
④ 스팸
76. 보호시설물의 물리적 통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물리적 통제시 시스템이 추구하는 보안성은 다른 기능(편리성, 외관성, 실용성 등)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② 시설물에 대한 물리적 통제는 기본적으로 경계지역, 건물외부지역, 건물내부지역이라는 3가지 방어선으로 구분된다.
③ 최근에는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한 감지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④ 시설물 내에 존재하는 내부 자산들은 그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상이한 경비보호계획을 수립하여 대응해야 한다.
77. 민간경비의 조직화 및 관리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민간경비의 조직화 과정에서 위험성, 돌발성, 기동성 등 경비업무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② 자체경비와 계약경비로 구분할 때 편의점, 소규모 상점 등 보호대상시설의 규모가 작을수록 자체경비를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③ 민간경비부서를 독립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다른 관리부서와 연계시켜 통합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전문성은 저하된다.
④ 보호대상의 특성에 따라 인력경비와 기계경비를 운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기계경비는 존재하지 않는다.
78.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행사를 많이 실시하고 있어 안전관리 대책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처럼 대규모 군중이 모였을 때 효율적인 군중관리의 기본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밀도의 희박화
② 이동의 일정화
③ 경쟁적 상황의 해소
④ 통제의 철저
79. 경비계획의 수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통행이 적은 곳에 경비실을 설치하고, 직원들의 출입구는 주차장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② 유리창이 지면으로부터 약 4m 이내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강화유리 등 안전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③ 경비원의 대기실은 시설물의 출입구와 비상구에서 인접한 곳에 위치해야 한다.
④ 건물출입구 수는 안전규칙범위 내에서 최대한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80. 경비원의 자질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비원에 대한 사회적 존중과 지원은 유능한 인적 자원을 유입하게 한다.
② 경비원의 윤리성 확립을 위해서는 직업적 전문화가 중요하다.
③ 일본과 한국이 1983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경비지도사 제도는 젊고 유능한 지원자들을 민간경비에 유입시키는 좋은 제도이다.
④ 경비원의 자질향상과 업무수행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