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실내화재가 발생하여 성장하는 과정에서 급격히 화재가 확대되어 화염에 휩싸이게 되는 단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백 드래프트 (back draft)
② 슬롭 오버 (slpoe over)
③ 플래시 오버 (flash over)
④ 보일 오버 (boil over)
42. 다음 중 연소가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가연물질의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①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활성화에너지의 값이 작아야 한다.
② 열의 축적이 용이하도록 열전도도가 작아야 한다.
③ 지연성(조연성) 가스인 산소, 염소와의 화학적 친화력이 강해야 한다.
④ 산소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작은 물질이어야 한다.
43. 전자파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발화되고 연소를 확대시키는 열원은?
① 전도열
② 대류열
③ 복사열
④ 비화열
44. 다음 연소를 일어나게 하는 열에너지원 중 화학열 에너지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연소열 (heat of combustion)
② 자연발열 (spontaneous heating)
③ 용해열 (heat of dissolution)
④ 압축열 (heat of compression)
45. 다음 중에서 기체의 일반적인 연소형태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분해연소
② 확산연소(발염연소)
③ 예흔합연소
④ 폭발연소
46. 연소(燃燒)란 일반적으로 가연물이 공기 중의 ( )와 결합하여 열과 빛을 발하는 급속한 ( )현상이다. ( )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① 수소, 환원
② 산소, 흡열
③ 산소, 산화
④ 탄소, 동화
47. 다음 중 연소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가연물
② 산소공급원
③ 점화원
④ 연쇄반응
48. 연소형태 중 표면연소에 속하는 것은?
① 플라스틱의 연소
② 금속나트륨의 연소
③ 알코올의 연소
④ 니트로셀룰로우스의 연소
49. 다음 중 연소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① 쇠못을 공기 중에 방치하였더니 표면에 녹이 생겼다.
② 도시가스가 공급되는 가정에서 가스렌지에 점화원을 가하고 요리를 하였다.
③ 나무장작에 불을 붙여 캠프파이어를 했다.
④ 라이터로 불을 붙이고 담배를 피웠다.
50. 다음 중 A급 화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연소 후 재가 남는다.
② 일반적으로 목재 화재가 해당된다.
③ 유류가 연소하는 화재이다.
④ 소화기에 표시하는 적응색상은 백색으로 한다.
51. 다음 소화약제 중 A급 화재, B급 화재,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① 수성막포
② 인산암모늄
③ 탄산수소나트륨
④ 황산알미늄
52. 화재의 종류와 가연물이 잘못 연결된 것은?
① A급 화재 : 유성페인트
② B급 화재 : 메틸알코올
③ C급 화재 : 전기기(통전중인 것)
④ D급 화재 : 아연
53. 소화약제 중 부촉매 소화효과가 주된 소화약제는?
① 물
② 할로겐화합물
③ 이산화탄소
④ 수성막포
54. 튀김요리를 하던 중 튀김 기름의 과열로 인해 발화가 되었다. 이 때 튀김용기의 뚜껑을 덮어서 연소를 저지시켰다면, 다음 소화원리 중 어느 것이 해당하는가?
① 질식소화효과
② 제거소화효과
③ 냉각소화효과
④ 화학적 연쇄반응 차단효과
55. 다음 소화방법 중 제거소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전기화재의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고 전기의 공급을 중지시킨다.
② 산불화재 시 연소 진행 방향에 있는 나무를 잘라낸다.
③ 고체파라핀 화재 시 물을 주수한다.
④ 가스기구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중간밸브를 차단시켰다.
56. 다음 물질 중 비열과 기화열이 크며, 소화설비 등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① 물
② 할로겐화합물
③ 탄산수소나트륨
④ 이산화탄소
57. 건축물의 내화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화재 초기에 다른 부분으로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② 화재 시 화염의 확산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한 방염처리가 관계 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③ 장시간 화재에서도 재료의 형태나 강도 등이 크게 변하지 않고 견디어서 화재 진화 후 간단한 수선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
④ 각 주요 구조부에 소화시설이 설치되어 초기 진화가 용이한 구조
58. 다음 중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방화관리자의 업무와 거리가 먼 것은?
① 화기취급의 감독
② 자위소방대의 조직
③ 소방계획서의 작성
④ 소방시설의 공사 및 보수
59. 화재발생 시 사람들의 일반적인 피난행동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추종본능
② 우회본능
③ 퇴피본능
④ 귀소본능
60. 감열체 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 있는 스프링클러헤드는?
① 조기반응형스프링클러헤드
② 건식스프링클러헤드
③ 측벽형스프링클러헤드
④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
61. 다음 소방시설 중에서 소방대가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을 구조하는데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소화활동설비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제연설비
③ 연결송수관설비
④ 무선통신보조설비
62. 소화기구를 비치할 경우 바닥으로부터 몇 m의 높이에 비치하도록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가?
① 0.8m 이하
② 1.0m 이하
③ 1.2m 이하
④ 1.5m 이하
63. 다음 중 화재경보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① 비상발전기
② 자동화재속보설비
③ 완강기
④ 누전차단기
64. 다음 중 화재 시 피난을 위한 시설물 또는 기구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유도등
② 피난사다리
③ 옥내소화전
④ 비상조명등
65. 자동화재탐지설비 구성품 중 화재의 발생을 인식하기 위하여 천장에 설치하는 것은?
① 발신기
② 수신기
③ 사이렌
④ 감지기
66. 소방시설 중 자동화재탐지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지기와 발신기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여 화재를 수신기에 통보하는 기능이 있다.
② 시각경보기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에게 화재를 통보하기 위한 경보설비이다.
③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신호전송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공통신호방식은 P형과 고유신호방식인 R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④ 감지기는 센서기능, 판단기능, 발신기능 등이 있어야 한다.
67. 화재인전기준에 의하면 유도등의 비상전원은 일반적으로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하는가?
① 10분
② 20분
③ 30분
④ 40분
68. 피난기구에 대한 용어의 정의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피난사다리라 함은 화재 시 긴급대피를 위해 사용하는 사다리를 말한다.
② 피난밧줄이라 함은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매듭을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한다.
③ 공기안전매트라 함은 뛰어내릴 때 안전하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④ 간이완강기라 함음 자동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69. 통로유도등의 일반적인 설치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복도통로유도등은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 마다 설치한다.
② 복도통로유도등은 바닥면으로부터 0.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③거실의 통로가 벽체 등으로 구획된 경우에는 거실통로유도등을 복도통로유도등으로 설치한다.
④ 거실통로유도등은 바닥면으로부터 1.5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70. 소방기본법에서는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활동 등을 하기 위하여 구성된 조직체를 ‘소방대’라고 정의하고 있다. 다음 중 소방대의 구성원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① 소방공무원
② 방화관리자
③ 의무소방원
④ 의용소방대원
71. 소방기본법상 화재의 예방을 위해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 등에 대하여 화재예방조치명령을 할 수 있는 자는?
① 시·도지사
② 시장 또는 군수
③ 소방방재청장
④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72. 다음은 소방기본법의 목적을 표현한 것이다. ( )안에 들어갈 용어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화재는 ( ㄱ ) · ( ㄴ )하거나 ( ㄷ )하고 화재, 재난 · 재하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 · 구급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① ㄱ: 예방 ㄴ: 경계 ㄷ: 복구
② ㄱ: 경보 ㄴ: 소화 ㄷ: 복구
③ ㄱ: 예방 ㄴ: 경계 ㄷ: 진압
④ ㄱ: 경계 ㄴ: 경보 ㄷ: 진압
73. 다음 중 소방기본법의 규정에 의한 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건축물
② 차량
③ 산림
④ 항해 중인 선박
74. 소방기본법에서는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을 정하는 기준을 어느 법령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는가?
① 건설교통부령
② 대통령령
③ 행정자치부령
④ 시·도조례
75. 소방기본법에서 정하는 소방신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경계신호
② 발화신호
③ 훈련신호
④ 조사신호
76. 소방본부장·소방서장 또는 소방대장은 사람을 구출하거나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불이 번질 우려가 있는 소방대상물 및 토지를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그 사용을 제한 또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처분을 할 수 있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소방대의 긴급통행
② 강제처분
③ 소방활동 종사명령
④ 소방활동구역의 선정
77. 다음은 화재의 예방조치에 관한 설명이다. 맞지 않는 것은?
①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불장난, 모닥불, 흡연, 화기(火氣)취급 그 밖에 화재예방상 위험하다고 인정되는 행위를 금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②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함부로 버려두거나 그냥 둔 위험물, 그 밖에 불에 탈 수 있는 물건을 옮기거나 치우게 하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③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옮기거나 치운 위험물 또는 물건을 즉시 폐기처분하여야 한다.
④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관계자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소속공무원으로 하여금 그 위험물 또는 물건을 옮기거나 치우게 할 수 있다.
78. 다음 중에서 위험물제조소등의 설치허가에 대한 권한이 없는 기관장은?
① 소방방재청장
② 광역시장
③ 도지사
④ 특별시장
79. 다음 중 위험물의 분류와 특성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① 제1류위험물 : 산화성고체
② 제2류위험물 : 가연성고체
③ 제3류위험물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물질
④ 제5류위험물 : 자기반응성고체
80. 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위험물의 성질과 가장 밀접한 것은?
① 인화성 또는 발화성
② 환경위험성
③ 독성 또는 병원성
④ 인체유해성 또는 화상위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