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옥내소화전 설비의 규정 방수압력은 얼마인가?
① 1.7㎏/㎠∼7.0㎏/㎠
② 2.5㎏/㎠∼8.0㎏/㎠
③ 3.6㎏/㎠∼9.0㎏/㎠
④ 4.2㎏/㎠∼10㎏/㎠

 

 

 

2. 다음 중 피난시 인간은 평소에 사용하는 문, 길, 통로를 사용한다든가, 자신이 왔었던 길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것은 어떤 본능 때문인가?
① 퇴피본능
② 추종본능
③ 귀소본능
④ 지광본능

 

 

 

3. 누전경보기의 수신부 설치 제외 장소로 부적당한 곳은?
① 온도 변화가 없는 장소
② 가연성의 증기ㆍ먼지ㆍ가스 등이나 부식성의 증기ㆍ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③ 화약류를 제조하거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④ 습도가 높은 장소

 

 

 

4. 3층 이상의 층에 설치하고 비상시 건축물의 창, 발코니 등에서 지상까지 통상의 포대를 설치하여 그 포대 속을 활강하여 피난하는 피난기구는 무엇인가?
① 구조대
② 완강기
③ 피난사다리
④ 공기안전매트

 

 

 

5. 다음 중 소방대에 속하지 않는 조직체는?
① 의무소방원
② 방화관리종사원
③ 의용소방대원
④ 소방공무원

 

 

 

6. 다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발전기
② 감지기
③ 수신기
④ 발신기

 

 

 

7. 소방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법상 경보설비가 아닌 것은?
① 자동화재 탐지설비
② 누전 경보기
③ 무선통신 보조설비
④ 가스누설 경보기

 

 

 

8. 스프링클러 설비의 수원중 산출된 유효수량의 3분의 1이상을 옥상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① 옥상이 없는 건축물 또는 공작물
②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③ 수원이 건축물의 지붕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
④ 건축물의 높이가 지표면으로부터 30M 이하인 경우

 

 

 

9. 특정소방대상물에 선임된 방화관리자의 업무로 잘못된 것은?
① 근무자 및 거주자에 대한 소방훈련
② 소방계획의 작성
③ 화기취급의 감독
④ 소방시설의 공사

 

 

 

10. 화재시 긴급 대피를 안내하기 위해 설치하는 등은?
① 비상조명등
② 유도표지
③ 유도등
④ 피난기구

 

 

 

11. 위험물의 정의로서 옳은 것은?
① 위험물이라 함은 인화성 물품을 말한다.
② 위험물이라 함은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진 물품을 말한다.
③ 위험물이라 함은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④ 위험물이라 함은 인화성 또는 폭발성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12. 가연성가스 중 공기에서 폭발위험성이 가장 큰 것은?
① 암모니아
② 아세틸렌
③ 벤젠
④ 이황화탄소

 

 

 

13. 다음 중 인명구조 기구가 아닌 것은?
① 방열복
② 안전마스크
③ 공기호흡기
④ 인공소생기

 

 

 

14. 다음 중 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못한 것은?
① 가연물을 연소 하한 농도 이하로 낮춘다.
② 가연물을 제거한다.
③ 가연물을 연소 상한계 이상으로 높인다.
④ 공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15. 피난구유도등 설치 장소로 부적당한 곳은?
①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② 직통계단ㆍ 직통계단의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③ 안전구획된 거실로 통하는 출입구
④ 막다른 통로로 통하는 출입구

 

 

 

16.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옳지 않는 것은?
① 통풍이 잘되지 않도록 한다.
② 주위온도를 낮춘다.
③ 습도를 낮게 한다.
④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17. 소방기본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화재를 예방· 경계하거나 진압하는 수단
② 화재, 재난· 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 구급활동의 수단
③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직접적 목적
④ 공공의 이익을 위한 안전확보 목적

 

 

 

18. 포소화설비의 주된 소화작용은 어느 것인가?
① 희석 작용
② 질식 작용
③ 유화 작용
④ 피복 작용

 

 

 

19. 수동식소화기 설치 기준이다. 이중 틀린 것은?
① 각 층마다 배치한다.
② 간이 소화기의 경우에는 보행거리 10M이내 마다 배치한다.
③ 소형수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보행거리 20M이내마다 배치한다.
④ 대형수동식소화기의 경우에는 보행거리 30M이내 마다 배치한다.

 

 

 

20. 소방기본법 중 협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협회가 정관을 변경할 때는 행정자치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② 협회운영경비는 회비와 사업수입 등으로 충당한다.
③ 협회는 화재예방과 안전관리의식의 고취를 위한 대국민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④ 협회의 정관에 기재하여야 하는 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21. 다음 건축물의 구조 중 내화구조인 것은?
① 철망모르터 바르기로서 두께가 2cm 이상인 것
②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③ 두께 1.2cm 이상의 석고판 위에 석면 시멘트판을 붙인 것
④ 철근콘크리트조의 벽으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것

 

 

 

22. 다음 위험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표지는 가로 0.6m이상, 세로 0.3m이상의 것으로 할 것
② 표지의 바탕은 청색으로, 문자는 적색으로 할 것
③ 게시판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유별, 품명 및 취급 최대수량과 위험물 보안감독자의 성명을 기재할 것
④ 제4위험물 및 제5위험물에 있어서는 “화기엄금”을 표시할 것

 

 

 

23. 방화구획의 기준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① 지하층은 층마다 구획
② 3층 이상의 층은 층마다 구획
③ 10층 이하는 바닥면적 3000m2 마다 구획
④ 11층 이상은 실내마감재료가 불연재료인 경우 500m2마다 구획

 

 

 

24. 다음은 류별 위험물에 대한 대표적 성질이다. 잘못 짝지어진 것은?
① 1류 – 산화성 고체
② 2류 – 가연성 고체
③ 3류 –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④ 5류 – 인화성 액체

 

 

 

25. 화재의 종류에 따른 가연물로 틀린 것은?
① 가스화재 – LNG, LPG, 부탄가스
② 금속화재 – 리튬, 칼륨, 마그네슘
③ 일반화재 – 목재, 섬유, 종이, 고무
④ 유류화재 – 휘발유, 아세톤, 물

 

 

 

26. 다음은 연결송수관 설비의 방수구에 관해 설명한 것으로 이중 설명이 틀린 것은?
① 연결송수관 방수구는 반드시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할 것.
② 방수구의 호스 접결구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5M이상 1M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③ 방수구는 연결송수관설비 전용 방수구 또는 옥내소화전방수구로서 구경 65㎜의 것으로 설치할 것.
④ 방수구는 개폐기능을 가진 것으로 설치할 것.

 

 

 

27. 화재시 건물내 연기이동에 대하여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연기의 이동은 건물내외의 온도차에 영향을 받는다.
② 연기는 공기보다 고온이기 때문에 기류를 교반하지 않는다면 천정의 하면을 따라 이동한다.
③ 연기는 수직공간에서 확산속도가 빠르고 그 흐름에 따라 화재 직상층 부터 차례로 충만해 간다.
④ 수평방향 이동의 경우 진행방향 하부에 역방향으로 흐르는 신선한 공기의 2층류를 형성한다.

 

 

 

28. 위험물의 정의에서 ‘제조소등’이란 무엇인가?
① 제조소, 저장소 및 취급소
② 제조소, 옥내저장소
③ 제조소, 간이탱크저장소
④ 저장소, 옥외취급소

 

 

 

29. 연소의 억제작용(소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분말소화약제는 화학소화뿐만 아니라 방사열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② 불활성 기체(아르곤, 질소, 이산화탄소등)에 의한 소화는 질식소화다.
③ 할로겐 원소중 소화력이 가장 큰 원소는 플루오르(불소)이다.
④ 할로겐 원소나 알카리금속은 연소시 발생한 활성중심(유리기, radical)과 반응하여 안정한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소화효과를 나타낸다.

 

 

 

30.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음량 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할 것.
②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이상일 것.
③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W이상일 것.
④ 조작부는 기동장치의 작동과 연동하여 당해 기동장치가 작동한 층 또는 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1. 연소의 정의 및 조건 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쇠못을 장시간 방치하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산화반응에 산화철(녹)이 되는데 이 반응도 넓은 의미에서 연소반응이다.
②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일반적으로 폭발의 위험성은 증가한다.
③ 연소반응은 산화반응으로서 가연물, 산소공급원 및 최소점화에너지를 연소의 3요소라 한다.
④ 연소반응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가연물을 계속 활성화시켜야 한다.

 

 

 

32.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할 장소의 최고 주위온도가 50℃인 경우 설치할 헤드의 표시온도 범위는?
① 79℃ 미만
② 79℃ 이상 121℃미만
③ 121℃이상 162℃미만
④ 162℃ 이상

 

 

 

33. 가스누설 경보기의 설치 위치로 부적합한 장소는?
① 가스렌지를 사용하는 주방
② 가스의 용기를 다량으로 저장하는 곳
③ 환기를 위한 흡입구 근처
④ 가스 연소기 근처

 

 

 

34. 가연물이 아닌 것은?
① 메탄
② 이산화탄소
③ 수소
④ 목재

 

 

 

35. 국가는 소방장비의 구입 등 시ㆍ도의 소방업무에 필요한 경비의 일부을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국고보조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방자동차
② 소방헬리콥터 및 소방정
③ 소방전용통신설비 및 전산설비
④ 소방관서용 청사의 보수

 

 

 

36. 다음 중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관하여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① 건축법에 의하여 연면적이 1000m2을 넘는 것은 갑종방화문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② 물품을 제조ㆍ가공ㆍ보관 및 운반 등에 필요한 대형기기설비의 설치ㆍ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③ 복층형인 공동주택의 세대안의 층간 바닥부분
④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로 된 주차장 부분

 

 

 

37. 강화액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약제는 주성분이 물이고 주제와 첨가제로 구성한다. 주제로 사용되는 품명은?
① 탄산수소나트륨
② 탄산수소칼륨
③ 탄산칼륨
④ 인산암모늄

 

 

 

38. 다음 중 소화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옥내소화전 설비
② 스프링클러 설비
③ 이산화탄소 설비
④ 연결송수관 설비

 

 

 

39. 일반화재, 유류화재, 전기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① 탄산수소나트륨
② 탄산수소칼륨
③ 제1인산암모늄
④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반응물

 

 

 

40. 다음은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발신기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이중 틀린 것은?
①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소규모 건물의 경우 2개 층마다 설치할 것
③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할 것
④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