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병학교(海軍兵學校)는 미 군정기 해군의 간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군사학교로서 정부 수립이후 대한민국 해군 장교 양성의 요람지인 해군사관학교(海軍士官學校)의 전신이다. 해군병학교(海軍兵學校)는 1946년 1월 17일 해군의 장교양성을 위해 설립한 학교로서 1946년 6월 15일에는 해안경비대사관학교(海岸警備隊士官學校)로, 그리고 8월 10일 해안경비대학(海岸警備大學)으로 개칭되었다.

 

해군병학교 명칭 개칭 현황

 

그 후 1947년 8월 14일 대학령에 의해 해사대학(海士大學)으로 개칭하였다. 해사대학은 정부 수립 이후인 1948년 11월 16일 다시 해군대학(海軍大學)으로 개칭되었다가, 1949년 1월 15일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로 정식 발족되었다.

 

해군병학교

 

해군병학교는 손원일(孫元一), 정긍모(鄭兢謨), 한갑수(韓甲洙) 등 해사협회 요원을 중심으로 1945년 11월 11일 창설된 해방병단(海防兵團)이 1946년 1월 14일 국방사령부에 편입되자, 1946년 1월 17일 진해기지에 간부양성을 위해 설치하였다. 해군병학교는 1946년 2월 8일 제1기생 사관후보생(士官候補生) 113명을 입교시켜 1년간 일반학 및 해양술 등을 교육시킨 뒤 1947년 2월 7일 61명이 임관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163명의 간부를 배출하였다. 제1기생으로는 김영관(金榮寬), 장지수(張志洙), 이맹기(李孟基), 김광옥(金光玉), 함명수, 현시학(玄時學), 김상길, 김윤근 등이 있었다.

제2기생은 1947년 2월 7일 입교하여 1년 10개월간의 교육과정을 수료한 후 1948년 12월 25일 48명이 임관하였다. 이들이 임관할 때 학교명칭은 해군대학이었다. 제2기생으로는 김규섭(金圭燮), 고경영, 차수갑, 이상호, 박승도, 홍관식 등이 있었다.

제3기생은 1947년 9월 2일 입교하여 2년 6개월간의 교육을 수료한 후 1950년 2월 25일 54명이 임관하였다. 이들이 졸업할 때 학교 명칭은 1949년 1월 15일부로 해군사관학교로 바뀌었다. 제3기생으로는 황정연(黃汀淵), 오윤경, 유병봉, 신태영(申泰榮), 안병기, 정태석 등이 있었다.

해방병학교의 교육은 기술교육과 일반교육 그리고 군사교육을 실시했다. 본래 교육기간은 4년으로 규정되었지만, 장교양성의 긴급성에 비추어 교육기간을 단축하여 3기생까지 배출하였다. 이들 3개 기수는 병과․기관과로 나누어 교육을 받았는데, 이들은 정부수립 전후로 점차 완전한 정기교육과정을 목표로 졸업 후 장기간에 걸친 함상훈련(艦上訓練)을 받았다.

1946년 6월 17일 해군병학교는 해안경비대사관학교로 그 명칭을 개칭하였다. 해안경비대사관학교의 교육내용은 병과, 기관과, 통신과 등 3개 과목을 강의하였다. 병과에는 포병학, 기상학, 측기학이 있었고, 기관과에는 박(舶)운용기관학, 전자공학이 있었고, 통신과에는 전기공학, 자기학, 군법이 있었다. 일반 공통학과로 개설된 과목은 해병학, 대수학, 물리학, 국사, 국어국문학, 영어, 훈육, 지정, 군사, 통신, 항해, 항해기업, 운용학, 체육, 기관학 등이었다.

또한 1948년 6월 29일 정부수립을 목전에 두고 해군의 확장이 요구됨에 따라 사관후보생 과정인 특교대(特敎隊)를 설치하였다. 특교대는 하사관을 포함한 군사경력자와 항해유경험자를 단기교육을 실시한 후 임관시키는 군사학교 기능을 하였다. 특교대는 한국전쟁 발발 때까지 9개기에 거쳐 총 415명을 임관시켰다. 특교대 출신으로는 정긍모, 정광호(鄭光鎬), 김용국(金龍國), 이봉출(李鳳出), 오범식, 오원선, 이수봉, 여현수, 문석수, 조남철 등이 있었다.

1949년 5월에는 해병대가 창설되자 그 해 7월 15일 해병간부후보생 과정을 설치하여 보병교육은 육군사관학교에서 수료케 한 후 해군단기교육을 실시하여 임관시켰다. 전쟁 발발 전까지 이 과정을 수료한 해병 장교는 2개기에 거쳐 71명이었다. 이들은 이병문(李丙文), 김연상(金然翔), 이동호(李東湖), 이동용(李東用) 등이 있었다.

특히 사관학교나 간부후보생 교육을 거치지 않고 군사경력 및 항해경험만으로 특별 임관한 해군 장교로는 손원일, 박옥규(朴沃圭), 이성호(李成浩), 이용운(李龍雲), 김성삼(金省三), 김일병(金一秉), 김영철(金永哲), 김충남(金忠男), 남철(南鐵), 김교식(金敎植), 한갑수(韓甲洙) 등이 있었고, 해병 장교로는 강기천(姜起千), 김대식(金大植), 김동하(金東河), 김두찬(金斗燦), 김석범(金錫範), 김성은(金聖恩), 신현준(申鉉俊), 고길훈(高吉勳) 등이 있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