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 후, 냉전이 시작되면서 중국문제는 아시아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미국은 극동에서 소련의 팽창을 막기 위하여 중국을 세계 4대강국의 위치로 끌어올려 전후 아시아의 세력균형을 도모하고자 했다. 전쟁 직후만 해도, 미국은 그들의 군사적 개입 없이 장개석(蔣介石) 정부가 공산세력을 물리치고 민주주의에 가장 만족스런 기초를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1945년 8월 당시, 중국은 하나의 통일정부라고 할 수 없었다. 국민당 정부의 권한은 일본이 점령했던 남부 중국과 동부, 서남 지역에 한정되었다. 북부 중국지역은 공산당이, 동북지역은 소련이 장악하고 있어서 양자강 이북으로는 중앙정부의 거점이랄 것이 없었다.

1945년 8월 9일, 모택동(毛澤東)이 일본군 항복 후 그들의 점령지역을 먼저 장악하려는 의도를 선포한 이래, 주덕(朱德)이 도시 및 교통중심지를 장악하여 일본군 투항과 군사 장비를 접수하기 시작하였고, 임표(林彪)는 동북지역으로 진입하여 공산군이 장악하는 지역이 늘어났다. 이러한 공산당 측의 조치에 대하여 장개석은 공산당에 독자적 행동을 취하지 말도록 항의하였고, 1946년 1월 10일, 국민당정부와 공산당 사이에 정식으로 ‘정전협정’을 맺었다.

그러나 1946년 5월, 국민당 군대가 사평, 장춘, 길림 등의 도시를 점령했고, 6월 26일 장개석은 정전협정과 정치협상회의의 결의를 파기한 후 공산당의 점령지역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도록 하였다. 이에 맞서 공산당이 반격을 함으로써내전은 본격화되었다.246)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합의된 정전협정에 의하면 국민당군이 만주의 항복을 받게 되었다. 1946년 2월 1일, 소련은 국민당 정부와 협정을 맺고 만주를 중국에 반환하기로 했다. 하지만, 소련은 국민당정부가 일방적으로 강력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아서 공산당에 대한 간접적 묵시적 원조를 감행했다. 만주를 점령한 소련은 미 군함의 수송을 받아 대련(大連)항으로 상륙하려 한 국민당군을 막아주었고, 1945년 12월 3일 완료예정이었던 자국군의 철수를 1946년 4월 29일까지 지연시켜 공산당에게 시간을 벌게 해주었다. 이러한 작전은 소련이 만주를 떠나면서 이 지역을 중공에게 넘겨주려는 공작이었으며, 중공의 권력장악을 도와주는 사회주의 종주국의 역할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내전을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실제로 1946년 4월에는 만주의 90%가 공산당의 수중에 넘어가 결국 장개
석의 즉각적인 만주진공⋅휴전파기를 낳게 했다. 6월 26일 전국적인 내전이 마침내 시작되었다. 중국공산당에서는 항일전쟁기간에 동북지방에 국민당 병사가 한사람도 없다가 일본이 항복한 후 국민당이 ‘중⋅소우호동맹조약’과 기타 협정에 근거하여 동북지방을 접수하려 한다며 이를 “동북인민들의 항일투쟁의 전취물을 강탈하려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1946년 봄, 동북으로 들어 온 팔로군, 신사군과 동북항일연군은 동북민주연군으로 재편되었다. 동북민주연군은 51만 명으로 병력이 늘어 1947년 9월부터 50일간의 추계공세를 전개하여 국민당군을 길림, 장춘, 사평, 심양, 금주 등 도시로 밀어냈다. 이어서 12월부터 3개월간, 동계공세를 취해 사평, 용양, 안산 등 도시를 점령했다. 1948년 4월 중순, 한국독립당 동북특별당부 위원장 김학규는 만주가 중공군에게 함락될 형편이라고 전했다. 1948년 1월 1일, 동북민주연군은 ‘동북인민해방군’으로 개칭했다.

1947년초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당 정부와 공산당의 대결은 심화되었다. 내전은 중국전역을 휩쓸어 공산당이 본토를 지배하고 국민당 정부가 대만(臺灣)으로 물러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국민당군은 중공보다 두 배나 많았고, 병력수송에서 미 해군의 지원과 천진과 북경지구 미 해병대의 지원을 받았으며 미국의 장비와 보급품까지 도움을 받았다. 국민당은 주요 도시를 대부분 차지하고 있었다. 국민당군은 훈련과 장비, 기동성과 전투력에 있어서 중공군에 비하면 훨씬 우세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북에서 화북으로, 화북에서 화중으로 빠른 속도로 계속 밀려났다. 그 원인은 관료정치의 부패와 군벌제도의 모순이 낳은 결과로 중공의 기적이 아니었다.

국민당군은 미군이 훈련시킨 정예부대를 동북으로 이동시켰으나 이곳에서도 패배했다. 동북을 둘러싼 전투는 중공의 기동전 전문가인 임표가 지휘했다. 그의 부대를 송화강을 건너 동북부 만주로 퇴각시킨 후, 1947년 대여섯 번이나 강을 건너 국민당군을 기습하고 차단하는 공격을 감행했다. 국민당군은 도시 내에서 고립되었다. 공산군은 화북에서처럼 농촌을 최대한 동원하여 동북을 차지했다. 1948년 10월 19일, 장춘을 점령했다. 이 때 조선의용군 제3지대가 전투에 참가하고, 장춘 점령 후 이 곳의 위수를 담당했다. 11월 2일 공산군이 심양을 점령함으로써 만주에서 내전은 공산당의 승리로 끝났다.

1948년 11월 중순, 모택동은 공산당군과 국민당군의 역량대비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 공산당군이 질적면 뿐만 아니라 양적인 측면에서도 우세하다고 선언하였다. 전국적인 전세는 국민당군이 290만 명으로 약화되고, 중공군이 300여 만 명으로 역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1949년 1월 21일, 공산군이 북평을 점령한 후 국민당의 패배가 현실화되었다. 1949년 말이면 공산당 군이 400만 명, 1950년 450만 명에 이르렀다.  스탈린이 중공군의 도강을 반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949년 4월 23일, 모택동군이 양자강을 넘어 남경을 함락시켰다. 국민당이외교면에서 아직도 중국의 주권을 주장하고 국민당군의 장거리 폭격이 때때로 상해를 진동시켰으나, 1949년 5월 27일 공산군은 상해를 장악하였다. 장개석이 대만으로 피신함으로써 국공내전이 사실상 공산측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중국의 곳곳에서 미국인들과 군사고문단이 서둘러 떠났다. 이제, 중국에서 미국과 소련의 지위가 거의 정반대로 바뀌었다. 1949년 8월 5일, 미 국무부의 ‘중국백서’ 발표는 미국이 중국에서 실패하였음을 반영한 것이었다. 1949년 12월 8일, 장개석 정부는 대북(大北)으로 수도를 옮기기로 결정했다.

중공지도자들은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1949년 6월 15일부터 19일까지 북평에서 새로운 정치협상회의 준비회를 개최하였다. 9월 21일부터 중국 각지 대표 662명을 참가시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북경에서 열었다. 이 회의에서 정부위원회 선거, 정부조직법, 국기, 수도 제정을 논의했다.258) 1949년 10월 1일, 모택동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후 주석에 취임했다. 10월 19일,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를 창설해 인민해방군과 기타 무장집단에 대한 관할과 지휘를 담당케 했다. 동북군구 사령관 겸 정치위원은 고강(高崗)이었다.

결국 중국이 공산화되었다. 모택동은 1949년 4월 양자강 도하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참전하지 않자 자신감을 가졌으며 미국을 ‘종이 호랑이(paper tiger)’라고 간주했다. 중국 공산당은 내전을 통해 형성된 모택동의 인민전쟁전략이 강대국의 군사개입 없이 중국혁명을 달성할 수 있었던 최선의 노선이었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공산화는 물론 미국이 개입하지 않았던 사실은 김일성이나 박헌영 등이 6⋅25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한 원인을 제공하였다.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